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tume Colors and the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emiotics(1)

한국복식의 색채특성과 문화기호적 해석에 관한 연구[1]

  • Lee Jee-Hyu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tume colors according to the diachronic stages of culture(Chosun dynasty, Modern times, Present age) and to interpretate the meanings of costume colors as a cultural code. To examine the col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nge,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ere us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1535 color samples were collected an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ensitive aspect of Korean costume color, 340 color nam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Red' and 'Blue' were preferred throughout the periods. In Chosun dynasty, the higher saturation of 'Red' and 'Blue', its symbolic meanings were more emphasized. 2. In the Modern times, 'Pink' was more distinctive than 'Red'. 'Pink' meant that the ecdysis of the traditional view of color. 3.'Yellow' of the low Saturation was used frequently in Chosun dynasty but in the Modern times, the use of 'Yellow' increased and the high saturation were used. In the Present age, the frequency of 'Yellow' was reduced relating to the increasing use of 'Brown'. 4.'Neutral Color'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diachronic stages of the culture. 'Black' was increased and had a big meaning in the cultural aspect of the Modern times. In the Present age, 'Gray' and 'grayish colors' were increased related to Technology, Metals and High rise buildings.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2.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1993). 숙명여대 박물관 도록. 서울: 용지인쇄
  3. 고려대학교 박물관 (1990). 고려대학교 박물관 도록: 인촌 김성수 선생 탄신 100 주년 기념집. 서울: 삼화인쇄
  4.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1995). 담인 복식미술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5. 경기도박물관, 자료검색일 2005. 1. 10. http://www.musenet.or.kr/
  6.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 민속박물관 (1986). 조선시대 복식 별전도록. 서울: 삼성문화인쇄사
  7. 국립중앙박물관 (1994). 미국 피바디 에섹스박물관 소장품 '유길준과 개화의 꿈' 특별전 도록. 국립중앙박물관
  8. 의상,1965년 5월호-1975 년 12월호. 서울: 의상사
  9. 의상계. 1968년 9월호. 서울: 衣裳界社
  10. 한국컬러 앤드 패션트렌드 센터 (2003). 섬유 패션 분야의 활용색채 조사분석 최종보고서
  11. 이신우 (1995). 이신우 작품집; Icinoo's 25th Anniversary Image Book
  12. 이영희 (1996). 이영희 작품집; Tying the Two
  13. 월간 멋,1984년 5월호-1987 년 11월호, 서울: 멋
  14. 2001S/S, 2002F/W, 2003S/S, 2003F/W pret-a-porter collection on-line, 자료검색 일 2004. 12. 5, http://www.firstview.com/
  15.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 (1992). 한국 전통 표준 색염 및 색상 : 제12차 시안. 국립현대미술관
  16. 김영숙 (1988). 한국복식사에 나타난 전통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묘진 (1992). 한국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채에 관한 고찰-조선시대 궁중의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전은주 (2000). 우리나라 전통복식의 계층별 착용색과 색명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진숙 (2000). 한국 전통색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실증적 배색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가명잡지, 1906년
  21. 신여성, 1923년 11월-1934 년 4월, 경성: 개관사
  22. 별건곤, 1926년 11월-1933 년 6월, 경인문화사
  23. 여성,1934년, 경성: 조선일보사
  24. 삼천리, 1926년 6월-1942 년 7월, 현대사
  25. 동아일보, 1926년 1월 5일-1930 년 12월 10일 신문
  26. 조선일보, 1930년 3월 1일-1935 년 3월 1일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