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질 및 토양 중 Endosulfan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effect of Endosulfan in soil and aquatic system

  • 안중혁 (강릉대학교 환경응용화학공학과) ;
  • 이석종 (강원도보건환경연구) ;
  • 이완 (강원도보건환경연구) ;
  • 김준범 (강릉대학교 환경응용화학공학과) ;
  • 이광춘 (강원도보건환경연구) ;
  • 권영두 (한중대학교 환경공학과) ;
  • 전충 (강릉대학교 환경응용화학공학과) ;
  • 박광하 (강릉대학교 환경응용화학공학과)
  • 투고 : 2006.01.09
  • 심사 : 2006.02.14
  • 발행 : 2006.04.27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잔류농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토양 및 수용액상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물질은 유기염소계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각각 채취한 시료를 전처리하여 Ultra II[$(30m{\times}0.25mm(ID){\times}0.25{\mu}m$] 컬럼을 장착한 GC-${\mu}$-electron capture detector(${\mu}$-ECD)로 분석하였다. 토양 중 잔류농약의 회수율은 96-100%로 나타났다. 토양에 농약분해제를 살포하여 시간별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73, 61% 감소하였다. 토양시료에 농약분해제를 첨가하고, 수분의 양을 10 mL에서 100 mL로 증가 시키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lpha}$-endosulfan은 45%에서 85 %로, ${\beta}$-endosulfan은 44%에서 88%로 제거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용액상에서도 시간별 endosulfan의 제거율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30분 내에서 ${\alpha}$-endosulfan은 99%, ${\beta}$-endosulfan은 98%가 분해 제거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농약분해제에 많은 유기산염과 강알칼리 성분들이 알칼리 가수분해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a standard solution containing ${\alpha}$ and ${\beta}$-endosulfan to follow the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s on soil and aqueous solution. An analytical method for residual pesticides was established by a gas chromatography equipped Ultra II[$(30m{\times}0.25mm(ID){\times}0.25{\mu}m$] capillary column and a ${\mu}$-electron capture detector(${\mu}$-ECD). Recovery rates of residual pesticides for soil samples were 96-100%. The amount of ${\alpha}$ and ${\beta}$-endosulfan that was spread in the soil was checked for various period of time. It indicated that the amount was reduced to 73 and 61%, respectively. When the water spread amount increased from 10 to 100 mL, ${\alpha}$-endosulfan was eliminated from 45 to 85% and while ${\beta}$-endosulfan from 44 to 88%. Removal rates of ${\alpha}$-endosulfan and ${\beta}$-endosulfan were 99% and 98% respectively within 30 minutes. It was assumed that the organic salts and strong alkali elements contained in the pesticide degradator hydrolyzed the residual pesticid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우성, 손영욱, 정지윤, 안경아, 홍무기, 임무혁, 이흥재, 이봉헌, 박흥재, 김부길, 김영식, 김성만, 한국환경분석학회지, 27(1), 88-92(2001)
  2. 이동호, 송병권, 신영민, 김형수, 김형일, 손영욱, 김재이, 김우성, 한국환경분석학회지, 3(2), 135-139 (2000)
  3. Deog-Gwan Ra, Young-Kyu Kim, Joumal of KoSES, 5(3), 17-23(2001)
  4. 이은주, 김우성, 박건상, 오재호, 김대병, The Korean of Pesticide Science, 4(2), 11-17(2001)
  5. Robert, M. J., Toxicol. Appl. Pharma., 35-95(1976)
  6. 이서래, 한대성, 이미경, Korean J. Environ. Agric., 14(2), 26-39(1996)
  7. 김수원, 환경과학회지, 1(1), 35-154(1996)
  8. 박주황, 박종우, 김종수, 김장억, J. Korean Soc. Chem. Biotechnol. 45(3), 145-151(2002)
  9. 박종우, 김장억,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yechnology, 37(6), 472-479(1994)
  10. Young-Eon Cheong, Yoshitaka Sudo, Jin-Eon Sohn, Motoyuki Suzuki, J. of KESS, 18(10), 1209-1216(1996)
  11. 서유덕, 조정우, 환경관리학회지, 9(1), 69-76(2003)
  12. 이재덕, 이만호, J. Korean Ind. Eng. hem., 10(6), 907-912(1999)
  13. 이종미, 이혜란, 남상민, 한국식품과학회지, 35(4), 586-590(2003)
  14. Hiroyasu Aizawa, 'metabolic maps of pesticides', Academic press, 2, 91
  15. 류홍원, 이해근, 김성환, '농약잔류 분석방법'동화기술, 163-168(1994)
  16. Dubois, M., Pfohl, l.A., Kremers, p., Environ.Toxicol Pharmacol, 1, 249-256(1996) https://doi.org/10.1016/1382-6689(96)00018-X
  17. 이강봉, 심재환, 서용택, 한국농화학회지, 37(3), 203-209(1994)
  18. 환경부, '골프장농약잔류량시험방법', 환경부발행, 2002
  19.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환경부발행, 2002
  20. 함동곤, 공창웅, 이창섭, 조석형, 김연철, 황재욱, '기기분석', 창문각, 2003
  21. 박병준, 최주현, 이병무, 임건재, 김찬섭, 박병훈, 한국농약과학회지, 2(2), 39-44(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