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Properties and Extracting Conditions of Juice Preperation from Schizandra nigra

흑오미자 즙액의 추출조건과 추출물의 특성

  • Park, Moon-Su (School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Rim, Yo-Sup (Department of Bioenvironmental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Soo-Cheo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박문수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 임요섭 (순천대학교 생명환경과학부) ;
  • 신수철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 Received : 2006.06.08
  • Accepted : 2006.08.21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o determine the properties for juice preperation of Black Omija (Schizandra nigra MAXIM.) an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 yield of extraction, chromaticity and lightness, pH and soluble solid of the extract were investigated. When Schizandra nigra was extracted for 3 hr at $80^{\circ}C$ using 20% aqueous ethanol, the yield of extracts was highest. For the desirable chromaticity coordinates, the optimum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of Schizandra nigra were 3 hr at $80^{\circ}C$. The lightness of the extract was low of the value when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was long and high. The sugar content of the extract of Schizandra nigra was ranged between 2.0 and 2.6% Brix, which is lower than that of Schizandra chinensis. Although the pH of the extract from Schizandra nigra was a low in comparison with that of water extract the pH range was proper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color of extract from the Schizandra chinensis.

본 연구는 흑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가공적성 가운데 가공제품의 생산과 상품성에 관련이 깊은 몇 가지 특성을 한국산, 중국산 오미자와 비교 조사하였다. 온도 및 추출시간($80^{\circ}C$에서 3, 4, 5시간, $40^{\circ}C$에서 7시간), 추출용매(증류수, 20% 에탄올 수용액)를 사용하여 즙액의 추출 수율과 색도, 당도(가용성 고형분), pH를 측정하여 흑오미자, 한국산 오미자와 중국산 오미자, 흑오미자 줄기를 비교한 결과, 수율을 기준으로 한 흑오미자의 추출조건은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80^{\circ}C$ 물 중탕에서 3시간 추출이 가장 적합하였다. 추출액의 색도 측정에서 L값(명도)은 $80^{\circ}C$로 4시간 20% 에탄올 수용액 추출액이 낮고, $40^{\circ}C$로 물 추출액이 높았다 a값(적색도)은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4시간 추출이 가장 높았으며, b값(황색도)은 온도가 높고($80^{\circ}C$, 5시간) 장시간 증류수 추출액이 높아 적색색소의 추출방법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흑오미자 추출물의 당도는 2.0-2.6% Brix 범위로 오미자 추출물보다는 낮았다. pH는 3.39~3.62 범위로 산성을 나타내었고, 오미자 즙액의 안정한 적색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pH 범위였으며, 흑오미자 줄기의 즙액도 증량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규찬, 박재환. 1992. 반응표면 방법에 의한 오미자 음료 제조의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4(1): 74-81
  2. 배기환. 2001.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서울. pp. 654
  3. 산림청. 1993. 단기소득임산물 특성과 재배법. 산림청 335-344
  4. 산림청. 1995. 산주를 위한 새로운 임업기술. 산림청 238-239
  5. 서화중, 이명열, 황경숙. 1987. 오미자 추출물이 Alloxan 부하가토의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6(4): 262-267
  6. 오상룡, 김성수, 민병용, 정동효. 1990 구기자, 당귀, 오미자, 오갈피 추출물의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탄닌의 조성. 식품과학회지 22(1): 76-81
  7. 이영로. 1997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pp. 1237
  8. 이정숙, 이미경, 이성우. 1989. 오미자의 부위별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4(2): 173-176
  9. 이정숙, 이성우. 1989a. 오미자 부위별 유리당, 지질과 비휘발성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4(2): 177-179
  10. 이정숙, 이성우. 1989b. 오미자 부위별 총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4(2): 181184
  11. 이정숙, 이성우. 1990. $CCI_{4}$ 독성에 미치는 오미자 열매의 물 추출물의 효과. 한국식문화학회지 5(2): 253-257
  12.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권. 향문사. 서울 pp 914
  13. 장은재. 1985. 오미자 과실주 제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14. HiKino, H., Y. Kiso, H. Taguchi and Y. Ikeya. 1984. Antihepatotoxic Actions of Lignoids from Schizandra Chinensis Fruits. Planta Med. 50: 213-218 https://doi.org/10.1055/s-2007-969681
  15. Hsu, H.Y., S.J. Shen, C.S. Hsu, C.C. Chen and H.C. Chang. 1986. In Oriental materia Medica, Oriental Healing Arts Institute, California, U.S.A
  16. Mizoguchi, Y., N.Y. Kawada, and H. Tsutsui. 1991. Effect of Gomisin A in the Prevention of Acute Hepatic Failure Induction. Planta Med. 57: 320-324 https://doi.org/10.1055/s-2006-960107
  17. Nakajima, k., H. Taguchi, Y. Ikeya, T. Endo and I. Yoshioka. 1983.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in the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apan Yakugaku Zasshi 103: 743-749 https://doi.org/10.1248/yakushi1947.103.7_743
  18. Toda, S., M. Kimura, K. Ohnishi, Nakashima and H. Mitsuhashi. 1988. Antioxidative Components Isolated from Schisandra fruit. Japan Shoyakugaku Zasshi 42: 156-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