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the Early Growth of Revegetation Plants by Microorganisms in Slope of Forest Road

임도사면에 있어서 미생물처리가 녹화식물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 Ma, Ho-Seop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Jin-Won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마호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
  • 박진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6.05.02
  • Accepted : 2006.06.02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arly growth of revegetation plants by microorganisms in slope of forest road in Jinju a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soil were changed by microorganisms. Soil pH, organic mater content,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cations and CEC in treated plot were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controlled plot in the surface soil. It showed that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including nitrogen and phosphorus was increased by an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soil. The coverage ra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lots (p<0.05). The germination rates of woody plants were better in treated plot than in controlled plo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would be significantly contributed for the early growth of revegetation plants on slope of forest road.

녹화식물의 조기녹화와 자연식생으로의 천이를 빠르게 유도하기 위하여 임도 비탈면에 미생물제재의 사용을 통한 산림토양의 개선효과 및 녹화식물의 초기생육 상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의 pH는 미생물 처리구에서 5.69로 많이 중화되어 약산성을 보였고, 치환성 양이온도 대조구에서의 1.59(me/kg)보다 처리구에서 비교적 높은 수치인 5.04(me/kg)로 나타났다. 전질소함량(T-N) 및 유기물 함량도 처리구에서 훨씬 높게 나타나 산림토양의 비옥도가 아주 높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제재로 처리된 실험구의 평균 피복율은 대조구보다 2.5배 높게 나타났으며, 각 소형방형구의 발아 평균본수는 미생물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2.7배나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처리구별 목본인 참싸리의 초기 평균 생장량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싸리의 초장은 발아 초기에 빠른 신장을 보이므로 외래초종과 혼파하면 사면안정 및 경관보전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외래종 위주의 단순한 종자뿜어붙이기공법의 녹화개념에서 초본 및 목본식물을 혼용한 외래종과 재래종의 사용과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미생물 녹화공법의 도입은 산림토양의 개선과 사면안정 및 경관보전 효과를 높이면서 임도 비탈면의 조기녹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훈 1994. 임도 절토비탈면의 식생조성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1
  2. 김남춘, 석원진, 남상준. 1998. 비탈면의 조기식생녹화를 위한 식물배합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pp. 8-18
  3. 구자공, 김경숙, 동종인 등. 2001. 토양환경공학. 한국지하수토양환경공학회편. 향문사. pp. 394
  4. 마호섭, 박진원, 김용철. 2005. 종자뿜어붙이기공법에 의한 임도비탈면의 식생회복. 경상대 학술림연보 15: 41-50
  5. 박문수. 1996. 임도구조 및 산림환경인자가 임도 비탈면의 식생침임과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6-30
  6. 박문수, 마호섭, 전권석. 1995. 임도사면의 식생침입에 관한 연구 -둔전봉양 임도를 대상으로- 경상대 연습림연보 5: 39-56
  7. 서병수, 김세천, 이창헌, 박종민, 이규환. 1991. 지리산 국립공원 도로 비탈면에 관한 연구(I). 한국조경학회지 19(2): 75-91
  8. 우보명. 1983. 도로비탈변의 경관안정을 위한 기본모텔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1: 69-79
  9. 우보명, 권태호, 김남춘. 1993 임도 비탈면의 자연식생 침입과 효과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2(4): 381-395
  10. 우보명, 손두식. 1980. 도로녹화 및 도로조경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48: 1-24
  11. 우보명. 1989. 사방공학. 향문사. pp. 310
  12. 이재필. 1995. 도로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배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
  13. 장한성, 마호섭, 박문수. 1994. 임도사면에 있어서 식생 침입의 초기과정. 경상대 농업자원연보 28: 41-53
  14. 전기성. 1999. 사면 녹화용 외래초종과 재래목초본식물 의 적정 파종량 및 혼파비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6-50
  15. 전권석, 마호섭. 2004. 시간경과에 따른 임도 절토비탈변의 식생피복도 변화.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7(3): 14-25
  16. 정원옥, 구소영, 강진택, 마호섭. 2000. 산림환경인자가 임도 비탈변의 토양침식과 사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10: 48-54
  17. 江崎 次夫, 伏見知道. 1976. 日本産雑草類ののリ面保護工に對する利用方法に關する研究(II). -林道切取りのり而での検討-. 愛媛大學農學部 演睝林砟究報告 13: 161-174
  18. 江岐 次夫, 久 正文, 山本 山男, 河野 修-. 1986. 林道ののり面の植生遁移に關する硏究. 愛媛大學農學部 演睝林硏究報告 24: 111-128
  19. 小林 洋司, 山口裕子. 1988. 林這路線が景観に興える影響. 日林誌 70(8): 351-361
  20. 山田 守 等. 1995. 播種保件の謹いが木本植物の發芽/初期生育に及ぼす影響について(I). 綠化工技術(日本綠化工硏 究會) 21(1): 34-40
  21. 山寺 帯成. 1975. 木本柄物と草本植物の播襎に關する寅験. 株化工技術(日本綠化工酬究會) 43(1): 14-16
  22. Waldron, L.J. and S. Dakessian. 1982. Effect of grass legume and tree roots on soil shearing resistance. Soil Sci. Soc. Am. J. 46: 894-899 https://doi.org/10.2136/sssaj1982.0361599500460005000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