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학생의 B형간염 표면항원과 표면항체 양성률

Sero-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in University Students

  • 나지현 (광주기독병원 소아과) ;
  • 조형민 (광주기독병원 소아과) ;
  • 정권태 (전남대학교 보건진료소) ;
  • 최성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민정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Na, Ji-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Gwangju Christian Hospital) ;
  • Cho, Hyung-Min (Department of Pediatrics, Gwangju Christian Hospital) ;
  • Chung, Kweon-Tai (Health Service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ung-W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Min-J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2006.12.31

초록

남학생 3,391명과 여학생 5,136명 총 8,5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4년 조사결과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2.7%이었으며 표면항체 양성률은 61.1%이었다. 성별로 표면항원 양성률은 남학생에서 3.3%, 여학생에서 2.3%로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 .05) 표면항체 양성률은 남학생에서 59.6%, 여학생에서 62.1%로 여학생에서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 .05). 출생년도에 따른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1980년 이전 출생군 3.8%에서 1986년 출생군 2.3%까지로 최근 출생군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일정한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출생년도에 따른 B형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은 1980년 이전 출생군 38.7%에서 1984년 출생군 71.7%까지로 1983년 출생 이후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일정한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자의 39.6%에서 e항원 양성률을 보였으며 비정상 간기능은 19.1%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극적인 보건교육, B형간염 예방접종 등으로 인하여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지역으로 불리는 우리나라에서도 B형간염 표면항원 및 표면항체 양성률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 Since 1983, vaccination for Hepatitis B virus has been recommended for all neonates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nging trend of the positive rate of HBsAg and anti-HBs in university students in one province.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one university students who taken physical exam in 2004, which included 8,527 students (3,391 males and 5,136 females). Serum HBsAg and anti-HBs were detected by immunochromatography method. Results: The positivities of HBsAg and anti-HBs were 2.7% and 61.1%. The positivity of HBsA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p< .05), while that of anti-HB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p< .05). There was some differences of HBsAg positivities among age group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positivities. There was some differences of anti-HBs positivities among age group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positivities. Conclusion: The positivity of HBsAg h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at of anti-HBs has increased with years. It was suggested that the changes of positivity were caused by nationwide hepatitis B vaccination program.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1.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2002
  2. 김형수, 이건세, 장성훈, 박수경, 김청식, 이창희, 권혁종, 정순섭. 충주시 고등학생의 최소 4년간 B형 간염 표면항원 및 항체 양성 률 조사. 한국역학회지 2002: 24: 107-112
  3. 천병렬, 이미경, 노윤경. 문헌분석에 의한 한 국인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양성률. 대한역학회지 1992:14:54 -62
  4. 장명국, 이자영, 이진헌, 김용범, 김학양, 유지영. 최근 3년 간 강원도 초, 중, 고등학생의 HBsAg 양성률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2000:58:608-615
  5. 이수정, 나호영, 박민호, 박근수, 최성규, 이강진, 문재동, 김세종. 최근 15년 간의 B형 간염 표면항원 및 항체 양성률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간학회지 2001:7:299-307
  6. 주영희, 신해림, 오진경, 김동일, 이덕희, 김병권, 김정일, 정갑열. 일개 도시 일부 청년층의 B형,C형 간염에 관한 혈청학적 연구. 예방의학회지 2004:37:253-259
  7. Seeff LB, Koff RS. Evolving concepts of clinical and serologic consequences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Semin Liver Dis 1986: 6: 11-22 https://doi.org/10.1055/s-2008-1040788
  8. Margolis HS, Alter MJ. Hadler SC. Hepatitis B : Evolving epidemiology and implications for control. Semin Liver Dis 1991:11:84-92 https://doi.org/10.1055/s-2008-1040427
  9. Dienstag JL, Schiff ER, Wright TL, Perrillo RP, Hann HW, Goodman Z, Crowther L. Condreay LD. Woessner M, Rubin M, Brown NA. Lamivudine as initial 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B in the United States. Engl J Med 1999:341:1256-1263 https://doi.org/10.1056/NEJM199910213411702
  10. 주광로, 방성조, 송병철. 1900년대 후반 한 국 성인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 보유양상.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642-652
  11. Gust ID. Epidemiology of hepatitis B infection in the Western Pacific and South East Asia. Gut 1996:38:S18-23 https://doi.org/10.1136/gut.38.Suppl_2.S18
  12. Maddrey WC. Hepatitis B: An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J Med Virol 2000: 61: 362-366 https://doi.org/10.1002/1096-9071(200007)61:3<362::AID-JMV14>3.0.CO;2-I
  13. 연종은, 변관수. 만성간염의 최신치료. 가정의학회지 1999:20:969-977
  14. 홍경표, 김세종. HBsAg 및 Anti-HBs 검출에 있어서 EIA법과 RPHA법 및 PHA법의 비교. 대한소화기병학회잡지 1987:19:129133
  15. 국립보건원. B형간염 수직감염의 예방사 업 . 2002
  16. 서정호. 제주 지역 소아, 청소년의 B 형 간 염 표면 항원과 표면 항체 양성률. 대한간학회지 2003;9(4) :3044-3314
  17. 신남철, 배성태, 김선미, 오세경, 윤도경, 조경환 등. B형 간염 표면항원과 항체 양성률에 관한 조사. 가정의학회지 1999:20:822-830
  18. 김록권, 안병민, 이동수, 이강문, 박영민, 이영석, 정규원, 이원철, 맹광호. 군입영 대상자의 HBsAg 양성률과 anti-HCV 항체 양 성률의 변화. 대한간학회지 2000:6(4):474480
  19. 나호영, 박민호, 박근수, 손영해, 주영은, 김세종. 광주전남지역 건강검진자들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및 B형 간염 바이러 스 항원 양성률의 지역적 특성. 대한소화기학회지 2001:38:177-184
  20. 보건복지부. 2001 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2002
  21. 김세종, 범희승, 조기현, 남광우, 홍경표, 김진석. 1984년 전남 및 제주지방 공무원의 HBsAg 및 anti-HBs 양성률에 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1984:31:313-317
  22. 오은하, 정남기. 광주 전남지역의 초중고등 학생 173,342명 에 있어서 HBsAg 및 anti-HBS 양성률에 관한 연구. 대한소화기병학회잡지 1990:22:825-830
  23. 오미경, 김종성, 이용빈, 한주현. 강원도 영 동지역 성인 7649명 에 있어서 B형 간염 바 이러스 표지자 HBsAg, Anti-HBs, AntiHBc-IgG의 양상. 가정의학회지 2000:21:91-99
  24. 박형근, 이재준, 김경진, 지혜기, 김익모. 한 국인 HBsAg 양 성 간 질 환 자 에 있어서 HBsAg 및 Anti-HBe의 검출성적. 대한소화기병학회잡지 1982:14:93-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