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Utilization of Bark by Carbonization

수피의 탄화이용에 관한 연구

  • Kim, Byung-Ro (Wood and Paper Science, Agr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yong (Wood and Paper Science, Agr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병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목재.종이과학 전공) ;
  • 이재용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목재.종이과학 전공)
  • Received : 2005.10.06
  • Accepted : 2005.12.01
  • Published : 2006.01.25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 possibility for the utilization of carbonized bark and develop the technique for carbonization of bark for using as the adsorbent, the soil improvement agent, the carrier for microbial activity, health products, and so on. The properties of bark charcoals such as methylenehlue adsorption (MBA),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far infra rad emissivity, pH, water retention and caloric value were analyzed. The MBA values of bark charcoals carbonized for 8 hr of carbonization time at $800^{\circ}C$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for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were greater than 110 mg/g. The bark charcoals pH values of all three species that were carbonized for 4 hr of carbonization time at $400^{\circ}C$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6.6 and carbonized for 4 hr at 600 and $800^{\circ}C$ was about 9. Therefore the bark charcoals of those species could be used as charcoals if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time were controlled.

수피의 탄화이용을 위한 수피탄화기술 확립과 이 수피탄화물을 흡착제, 토양개량자재, 미생물활동담체, 건강재료 등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피탄화물의 메틸렌블루흡착량, 흡습성, 원적외선 방사율, pH, 보수성 및 발열량 등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메틸렌블루흡착량이 탄화온도 $800^{\circ}C$, 탄화시간 8시간에서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수피탄화물들은 110 mg/g 이상의 값을 보이고, 모든 수피탄화물의 수소이온농도가 탄화시간 4시간의 경우 탄화온도 $400^{\circ}C$에서 pH 6.6, $600^{\circ}C$$800^{\circ}C$에서는 pH 9 정도를 나타내는 등, 수피탄화물은 탄화물로서의 이용이 가능하고, 탄화온도와 시간만 고려하면 충분히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충북대학교

References

  1. 공석우, 김병로. 2002. 국산 주요 수종 및 목질재료 탄화물의 흡착 특성, 목재공학 30(4): 33-40
  2. 공석우, 김병로. 2000. 미이용 목질 폐잔재의 탄화 이용 개발(II), 목재공학 28(2): 57-65
  3. 공석우, 김병로. 1999. 미이용 목질 폐잔재의 탄화 이용 개발(I), 목재공학 27(2): 70-77
  4. 김영증, 김병로. 2003. 목재탄화물의 원적외선방사에너지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졸업논문집
  5. 임업연구원. 2000. 폐목재의 수집체계 개선 및 재활용 촉진 방안. pp 3-257
  6. 산림청. 2000. 임업통계요람
  7. 서종현, 김병로. 2003. 목재탄화물의 발열량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졸업논문집
  8. 정대성, 김병로, 민두식 등. 1985. 침엽수재 수피의 물성. 한국임학회지 71: 59-65
  9. 목재 탄화성분 다용도 이용 기술 연구조합 편. 1998. 목탄과 목초액의 신용도 개발연구 성과집. pp 99-105
  10. 深澤和三. 1992. 木炭の秘めたパワ-. 北海道地域振興センタ-. pp 51-66
  11. Kitamura, T., S. Maatsumoto, and H. Katayama. 1999. The effect of carbonizing condions on the properties of charcoal absorbent from cryptmeria. Mokuzai Gakkaishi 45(2): 17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