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of inhalant MAST on chronically coughing children

만성 기침을 하는 소아에서 호흡기 증상과 inhalant MAST의 연관성

  • Yun, Jung M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Roh, Eui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Lim, Jae W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Choen, Eun 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o, Kyoung O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Lee, Young Hyu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윤정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노의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재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천은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경옥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영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5.01.12
  • Accepted : 2006.02.28
  • Published : 2006.06.15

Abstract

Purpose : Recently, incidences of chronic cough with allergic disease have been increased.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allergens for chronically coughing children is significant for diagnosis, proper treatment and preven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ignificant contributors for sensitization in chronically coughing children. Methods : A total of 106 children, aged 1-6 years, visiting for chronic cough(>3 weeks), were tested for inhalant multiple allergosorbent assay(MAST), eosinophil count and total IgE. Par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past history of atopy(infantile eczema) and bronchiolitis, family history of allergy, breastfeeding, smoking, pets and floor coverings at home. Results : Significant contributors for sensitization were : age(4-6 years), infantile eczema, positive family history of allergy and smoking by family. Conclusion : We were able to identify significant contributors for sensitization in chronically coughing children.

목 적 : 최근 알레르기 질환은 소아 유병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최근 알레르기 질환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알레르기 질환의 증가와 더불어 만성기침의 유병률 또한 증가하는 추세로 만성 기침을 하는 소아에서 그 원인 항원을 찾는 것은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특정 항원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저자들은 만성 기침을 하는 1세에서 6세 사이의 소아에서 간단한 설문을 통해 얻은 정보로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 및 다른 호흡기 증상과 특이 IgE 검사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3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만성 기침을 주소로 건양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1세에서 6세 사이의 소아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혈액 검사를 시행한 최종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영아 습진의 병력, 모세기관지염의 병력,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 가정 내 흡연자의 유무, 모유 수유의 여부, 가정 내 애완동물(개, 고양이 등)의 유무, 카페트 사용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106명의 환아들의 혈액 검사를 통해 흡입항원 MAST, 총 IgE 값과 말초 혈액 호산구 수를 측정하였고 흡인항원 MAST 검사의 알레르겐 중 유럽 집먼지 진드기, 북아메리카 집먼지 진드기, 집먼지, 개, 고양이에 대한 양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결 과 : MAST 결과 북아메리카 집먼지 진드기에 양성을 보인 경우는 29.2%로 가장 높았고 집먼지가 27.4%, 양이 16%, 개 14.2%이었으며 유럽 집먼지 진드기는 12.3%의 양성률을 보였다. MAST 결과가 양성인 51명과 음성인 55명을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MAST 양성인 군에서 나이가 4-6세로 많은 경우는 33명이었으며 MAST 음성인 군에서 나이가 많은 경우는 19명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9) 영아습진은 32명과 19명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과 가정 내 흡연자가 있는 경우도 P<0.001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MAST 양성 결과를 보인 51명의 총 IgE 값은 $405.7{\pm}740.7IU/mL$, MAST에서 음성을 보인 55명의 총 IgE 값은 $104.5{\pm}109.2IU/mL$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41), 호산구 수는 두 군에서 $478{\pm}505/{\mu}L$$290{\pm}265/{\mu}L$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97). 결 론 : 저자들은 간단한 설문을 통한 정보로 3주 이상의 만성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 및 다른 호흡기 증상과 특이 IgE 검사(inhalant MAST)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고, 나이, 영아습진의 병력, 가정 내 흡연과 알레르기 질환의 가족력이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eisman JJ, Canny GJ, Levison H. The approach to chronic cough in childhood. Ann Allergy 1988;61:163-71
  2. Kamei RK. Chronic cough in children. Pediatr Clin North Am 1991;38:596-605
  3. Parks DP, Ahrens RC, Humphries CT, Weinbergeer MM. Chronic cough in childhood :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 Pediatr 1989;115:856-62 https://doi.org/10.1016/S0022-3476(89)80123-4
  4. Lee HC, Kim CK, Chung CY. The usefulness of serum total IgE test by multiple allergosorbent test-chemiluminescent assay(MAST-CLA) : Comparison with paper radioimmunosorbent test(PRIST). J Korean Pediatr Soc 1999;42: 397-402
  5. Miller HC, Pround GO, Behrle FC. Variations in gag, cough and swallow reflexes and Tone of vocal cords as determined by direct laryngoscopy in newborn Infants. Yale J Biol Med 1952;24:284-91
  6. Holinger LD. Chronic cough in infants and children. Laryngoscope 1986;96:316-22
  7. Harnolds SN. Diagnostic procedures in allergy, allergy skin testing. Ann Allergy 1983;51:411-8
  8. Indrajana T, Spieksma FTM, Voorhost R. Comparative study of the intracutaneous scratch and prick tests in allergy. Ann Allergy 1971;29:639-50
  9. James JM, Simons FER. Allergy skin testing. Can Med Assoc J 1979;120:330-2
  10. Dennis R. Ownby. Allergy testing in vivo versus in vitro. Ped Clinic North Am 1988;35:995-1007 https://doi.org/10.1016/S0031-3955(16)36544-0
  11. Fourchard T. A follow up study of children with asthmatoid bronchitis. Acta Pediatr Scand 1973;62:633-44 https://doi.org/10.1111/j.1651-2227.1973.tb17078.x
  12. Gleichk JGM, Jacob GL, Yungier GW, Henderson LI. Measurement of absolute level of IgE antibodies in patients with ragweed hay fever. J Allergy Clin Immunol 1979;63: 228-41 https://doi.org/10.1016/0091-6749(79)90106-4
  13. Gleichk JGM, Larson GB, Jones RT. Measurement of the potency of allergy extracts by their inhibitory capacities in the RAST. J Allergy Clin Immunol 1974;53:158-69 https://doi.org/10.1016/0091-6749(74)90004-9
  14. Asser S, Welch M, Hamburger RN. Correlation of MAST profile with RAST. Ann Allergy 1984;52:244
  15. Eysink PE, Bottema BJ, ter Riet G, Aalberse RC, Stapel SO, Bindels PJ. Coughing in pre-school children in general practice: when are RAST's for inhalation allergy indicated? Pediatr Allergy Immunol 2004;15:394-400 https://doi.org/10.1111/j.1399-3038.2004.00201.x
  16. Nielsen JP, Stergaard PA, Harris RI, Galmlmelby P. Comparison of CLA with BPT, SPT and RAST in children with asthma. Allergy 1992;47:30-4 https://doi.org/10.1111/j.1398-9995.1992.tb02246.x
  17. Kim GS, Jung HJ, Lee SK, Kim IK, Sung H, Choi CH. Availability of IgE MAST for diagnosis asthmativ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1996;39:11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