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Readability by Text Attributes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자기안내식(自己案內式) 해설판(解說板) 글자 속성(屬性)에 따른 가독성(可讀性) 비교(比較)에 관한 연구(硏究)

  • 김상오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 Received : 2005.08.02
  • Accepted : 2005.12.28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Understanding the readability of texts in signs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of the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This study compared signs' readability by different text attributes. A total of 1391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t the 'Neodeolgeong' area in Mudeung-Mountain Provincial Park during September-November of 2004. This study found that 'Hy Gyunmyungjo' in letter style, 'both-side' in letter justification, 190% (HWP 2002) in space between lines, 10 (HWP 2002) in space between letters, and 25 in the number of letters in a line showed the highest readability in text size 58 point, respectively. This study illustrated an example of an interpretive sign made up by combing the five text attributes which show the highest readability.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interpretive signs' text design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정보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설판 글자의 가독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설판의 글자속성에 따른 가독성을 각각 비교하였다. 2004년도 9-11월중 무등산도립공원 내 너덜겅 지역에서 총 139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5개 글자속성(글자체, 글자정렬, 글줄간격, 글자간격, 한 줄의 글자수)의 가독성 비교 결과, 글자크기 58포인트의 경우 글자체는 'Hy 견명조', 글자정렬은 '양단정렬', 글줄간격은 190%(한글 2002), 글자간격은 10(한글 2002), 한 줄의 글자수는 25자일 때 각 글자속성의 가독성이 최적으로 나타났다. 최적 가독성으로 나타난 각각의 글자속성을 조합하여 제작한 해설판의 글자를 예시하였으며, 가독성과 관련하여 해설판 글자디자인과 추후 연구 문제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강연아. 1999. 한글 활자체(typography)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인쇄매체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가독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8
  2. 기도형. 1998. 승용차 combination meter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색상 설계. 산업공학 11(2): 139-147
  3. 김기중. 1997. 가로쓰기와 리더빌리티 관계에 대한 서술적 소고. 출판잡지연구 5(1): 19-32
  4. 김덕룡. 1999. 인터넷 신문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디자인논문집 4: 5-26
  5. 김상오. 1996. 규범적 접근방법에 의한 휴양자원관리의 실태분석 및 평가기준의 설정: 지리산 국립공원 야영장을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85(3): 360-371
  6. 김성일, 황영현. 1997. '스스로 알아보는' 안내해설판의 교육적 효과. 환경교육 10(2): 213-227
  7. 김정란. 2002. 본문용 서체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탈네모꼴 서체를 중심으로. 산업디자인연구 2: 341-364
  8. 김지현, 김영호, 김민정. 2001. 서울거리간판의 타이포그래피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1): 65-72
  9. 김진, 조암. 1992. A study on the legibility of Korean characters on car license plate: Proper height/width ratio. 대한인간공학회지 11(1): 13-19
  10. 김창국. 2002. 웹기반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전달효과를 위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름 7: 170-182
  11. 김창희. 1994. 한글인식과정에서의 안구운동 특성분석. 동아대학교석사학위논문. p. 48
  12. 김해옥. 1970. 읽기 난이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75
  13. 김호영, 정찬섭. 1992. 명조체와 샘물체 단어모양이 한글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4: 25-35
  14. 박선홍. 1997 무등산: 무등산의 유래와 전설.경관. p. 436
  15. 박형택, 강형준. 1995. 우리나라 자동자 번호판에 관한 인간공학적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4(2): 15-24
  16. 백승엽, 조암. 1988. 자동차번호표(보통번호표) 숫자의 가독성에 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7(1): 13-20
  17. 석금호. 1994. 타이포그라픽 디자인. 서울: 미진사 p. 277
  18. 손종은, 송형섭. 2000.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산림휴양연구 4(3): 43-54
  19. 손종은, 송형섭. 2002. 자가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효과 분석: 홍릉수목원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1(6): 742-749
  20. 송 현. 1985. 한글자형학. 서울: 월간디자인출판부. p. 208
  21. 송형섭, 김성일. 2001. 환경해설의 이론과 실무. 충남대학교 출판부. p. 114
  22. 신대균. 2001. 읽기 형태, 줄길이, 줄간격이 웹브라우저에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7
  23. 안상수. 1980.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66
  24. 오주환, 임상원. 1971. 신문의 한글전용이 독자의 독서 행위에 미치는 영향. 신문학보 4: 16-38
  25. 이수정. 1993. 한글의 글자꼴과 글줄길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0
  26. 이영길. 1998. 초등학교 교과서 본문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18
  27. 이영현, 고형주, 김명렬. 2001. 웹기반 평가를 위한 사용자가 독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 교육학회논문지 4(2): 125-133
  28. 이종민. 2000. 웹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타이포그래피 활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1
  29. 이창민, 이윤홍. 2001. 판독성 향상을 위한 자동차 번호판의 개선에 관한 연구. IE Interfaces 14(3): 296-301
  30. 인숙경. 1989 신문의 시대변천에 따른 가독성 요소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65
  31. 임의도. 1965. 한글의 읽기 쉬움에 미치는 몇 가지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35
  32. 전경수. 1999a. 내장산국립공원지역의 환경해설판에 의한 해설기능 평가. 원광대 생명자원과학연구 21: 104-109
  33. 전경수. 1999b. 환경해설판의 해설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산림휴양연구 3(1&2): 29-38
  34. 정동욱. 1996. TV-Program 서체의 시각전달 효과를 위한 연구. 시각디자인학 연구 1: 119-129
  35. 정우현, 한재준, 정찬섭. 1993. 한글의 글자꼴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93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491-501
  36. 정재우. 1997. 영상매체에 구현되는 한글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PC 모니터에서 표현된 한글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60
  37. 정찬섭, 권명광, 노명완, 전영표. 1993. 편집 체재와 글의 읽기 쉬움-교과서를 중심으로.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p. 226
  38. 최성규. 1995.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독서재 요소의 연구: 시사월간지의 본문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7: 285-303
  39. 황우상, 이동춘, 이상도, 이진호. 1997. VDT화면에서 한글의 글자크기와 서체에 따른 탐색속도와 오류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6(2): 29-38
  40. 황진희. 1982. 한글의 본문용 문자체와 그 가독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4
  41. 日本國立國語硏究所. 1945. 國立國語硏究所年報. 5:18-19
  42. 早川浩. 1979. 讀書と 可讀性. 東京: 著者刊行
  43. 村石昭三. 1955. 活字の大きさと行間, 字間, 行の長さ. 印刷雜誌 38(4): 16-19
  44. Dillon. A. 1992. Reading from paper versus screens: a critical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Ergonomics 35: 1297-1326 https://doi.org/10.1080/00140139208967394
  45. Dodge, R. 1900. Visual perception during eye movement. Psychological Review 7: 454-465 https://doi.org/10.1037/h0067215
  46. Ernst, S. B. 1977. The ABC's of Typography. New York: Art Direction Book Co. p. 188
  47. Ham, S. H.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Golden, Colorado: North American Press. p. 456
  48. Holt, E.B. 1903. Eye-movement and central anaesthesia. Psychological Monographs 4: 3-48
  49. Jackson, J. M. 1965.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orms. In I. D. Steiner & M. F. Fishbein (eds.), Current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pp. 301-309.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50. Klare, G.R. 1963. The Measurement of Readability. Iowa: Iowa University Press. p. 328
  51. Knudson, D. M. 1984. Outdoor Recrea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p. 568
  52. McCornmick, E. J. 1976.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McGraw-Hill. p. 491
  53. Ryder, J. 1979. The Case for Legibility. New York: The Moretus Press Inc. p. 77
  54. Sharpe. G. W. 1982. Interpreting the Environ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p. 694
  55. Shen, E. 1927. An analysis of eye movement in reading of Chines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 158-183 https://doi.org/10.1037/h0075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