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ex Education on Middle School Boys' Perception about Obscene Materials and Self Identity

성교육이 남자 중학생의 음란물에 대한 인식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on middle school boys' perception about obscene materials and self identity. Methods: This study was employed, using pretest-posttest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st to May 14th, 2005.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wo middle boys' school in Incheon which have similar class accomplishments and financial statues. Sampling method was used 70 stude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74 students to control group. The 45 minutes sex education was given 4 times within 3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Four weeks later after education has finished, post test was don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 -test by SPSS. Results: The 1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sex education will have a higher score of perception about obscene materials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t = 3.370, p = .001). The 2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sex education will have a higher score about self identity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 = 1.997, p = .048).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ex education effectively helps middle school boys to have right perception about obscene materials and to promote self identity.

Keywords

References

  1. 강봉규 (2000). 인간발달. 서울: 동문사
  2. 경기도교육청 (2004). 성! 모든 것이 담겨있어요. 경기도: 경기도 교육청
  3. 계수연 (1999). 성교육 실시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변화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4. 교육인적자원부 (2001). 함께 풀어가는 성 이야기. 서울: 문영사
  5. 구성애 (1999). 구성애의 성교육. 서울:도서출판 석탑
  6. 김도신 (2003). 초등학생의 컴퓨터 음란물 접촉이 성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7. 김미주 (1997). 초 . 중 . 고등학교 성교육 교재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8. 김영란 (1997). 건강증진, 보건교육. 서울: 도서출판 정담
  9. 김영혜 (2000). 한국청소년의 성교육을 위한 시청각 프로그램이 성역할정체감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0(6), 1556-1568
  10. 김종엽 (2002). 사이버 음란물의 현황과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익산
  11. 김혜옥 (1998). 부산 . 경남지역 일부 중학교 남학생의 컴퓨터 음란물 접촉실태 및 성행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해
  12. 김혜원, 이해경 (2003). 함께 배우는 성. 서울: 학지사
  13. 남철현 (1998),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서울: 계축문화사
  14.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2004). 학교청소년 성교육, 성상담 교원연수 II. 서울: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15. 박선희 (2003). 성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16. 박아청 (2003). 정체감 연구의 전망과 과제. 서울: 학지사
  17. 박연채 (1995). 시스템교육학. 서울: 도서출판 고시연구원
  18. 박창근 (2001). 사이버공간의 음란물에 대한 접촉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아산
  19. 염문정 (2003). 인터넷 음란물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강릉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강릉
  20. 우해자 (2001). 성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터와 비디오 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1. 윤여정 (2004). 청소년의 음란물 접촉과 성역할 정체감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산
  22. 이미옥 (2002). 대학생의 컴퓨터 음란물 접촉, 성고정 관념, 성태도 및 신체적 접촉에 관한 연구. 관 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릉
  23. 이백현 (2001). 인터넷상의 음란물이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4. 이상숙 (2004). 인터넷 음란물이 청소년의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마산
  25. 이시백 외 (2003). 성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6. 이영숙 (2004). 성 건강 교육 프로그랩 개발과 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27. 이은현, 정영해, 김진선, 송라윤, 황규윤 역 (2002). 보건통계분석. 서울: 군자출판사
  28. 이희승 (1982).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29. 정경자 (2004). 성가치명료화 프로그랩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제주
  30. 정민자, 송현정 (2000). 초등학교 5.6학년을 위 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생활과학논문집, 1(2), 133-161
  31. 정민자, 이채희(2000). 중학생을 위한 학교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생활과학논문집, 1(2), 103-131
  32. 정선경 (2003). 컴퓨터 음란물 예방교육을 포함한 성교육이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33. 정은자 (2000). 성교육프로그램이 남자중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34. 조금랑 (2002). 청소년의 컴퓨터 음란물 경험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5. 조복희, 정옥분, 유가효 (1997). 인간발달. 서울: 교문사
  36. 조창호 (2003). 청소년 인터넷 음란물 접촉실태와 규제방안의 효과성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7. 조한욱 역 (1996). 포르노그라피의 발명. 서울: 상지사
  38. 최숭원 (2001). 성교육이 중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39. 하숙영 (1998). 성교육이 여자중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40.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1998). 음란물이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41. 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청소년심리학. 서울: 한국청소년연구원
  42. 한국학교보건교육연구회 (1999). 성교육학습지도안. 서울: 한국학교보건교육연구회
  43.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4a). 음란물의 유해성과 그 규제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44.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4b), 음란물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45.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컴퓨터 통신을 통한 음란물 접촉실태와 대책.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46. 한유정 (1997). 성교육이 중학생의 성지식과 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47. 헌법실무위원회 (2000). 헌법실무연구 제 1권. 서울: 박영사
  48. 홍애란 (2002).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음란물 경험 실태 및 성의식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춘천
  49. Kirby. D. & Valley. S. (2002). The impact of school and school programs upon adolescent sexual behavior. J of Sex Research 39(1). 27-33 https://doi.org/10.1080/00224490209552116
  50. Gottsegen, E. & Philliber, W. W. (2001). Impact of a sexual responsibility program on young males. Adolescence. 36(123), 427-433
  51. Benedek., E. P. & Brown, C. F. (1999). No excuses: televised pornography harms children. Havard Review of Psychiatry, 7(4), 236-240 https://doi.org/10.1093/hrp/7.4.236
  52. Denny, G., Young, M., Rausch., S. & Spear, C. (2002). An evaluation of abstinence education curriculum series: Sex can wait. American J of Health Behavior, 26(5), 366-377 https://doi.org/10.5993/AJHB.26.5.5
  53. Barrett, M. (1981). Health education guide a design for teaching K-12. Wynnewood: Health Education Association Ltd
  54. Malamuth, N. M. (2000). Pornography and sexual aggression: Are there reliable effects and can we understand them?. Annual of Research, 11, 26-68
  55. Byers, E. S., Sears, H. A., Voyer. S. D., Thurlow, J. L., Cohen, J. N. & Weaver, A. D. (2003). An adolescent perspective on sexual health education at school and at home: II. Middle school students. The Canadian J of Human Sexuality, 12(1), 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