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서부 해역의 난·자치어 분포와 종조성의 계절변동

  • Lee, Seung-Jong (Marine and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Go, Yu-Bong (Division of Applied Marin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Byung-Jik (Marine and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Cheju National University)
  • 이승종 (제주대학교 해양과환경연구소) ;
  • 고유봉 (제주대학교 해양생산과학부) ;
  • 김병직 (제주대학교 해양과환경연구소)
  • Received : 2006.05.02
  • Accepted : 2006.06.05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o find out the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with plankton net during five different months from September 2004 to August 2005. The mean abundance of fish eggs and larvae showed a maximum values in summer (August). During the survey period, total 59 species (51 genus, 26 families and 10 orders) of fish larvae were identified. Among the 10 orders, Perciformes (41 species, 15 families), Scorpaeniformes (7 species, 2 families) and Gasterosteiformes (2 species, 2 families)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this study area.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high water temperature period than in low one, showing a peak in August as 25 species, and the lowest in May as 6 species. Engraulis japonicus, Scomber japonicus and Scombridae spp. which were migratory fish species occurred abundantly in summer. On the other hand, Sebastiscus marmoratus and Sebastes inermis which were sedentary fish species occurred abundantly in winter.

제주도 서부 해역에서 어류 난 자치어의 계절별 출현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04년 9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총 5회에 걸쳐 각 계절별로 난 자치어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난과 자치어는 모두 여름철인 8월에 가장 많이 출현하고 있었다. 본 연구해역에서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전체 자치어는 총 10목 26과 51속 59종으로 이들 중 농어목 어류가 15과 41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쏨뱅이목 2과 7종, 큰가시고기목 2과 2종의 순으로 출현하고 있었다. 계절별 자치어 출현현황에 있어서 출현종수는 8월에 25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한 반면에 5월에 6종으로 가장 적은 출현종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계절별 자치어 출현량에 있어서 고수온기인 여름철에는 주로 멸치, 고등어류와 같은 회유성 어종들이 풍부하게 출현하여 우점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저수온기인 겨울철에는 쏨뱅이, 볼락과 같은 정착성 어종들이 우점을 이루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K. and S.H. Lee. 1982. Vertically homogeneous water along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J. Oceanol. Soc. Korea, 17(2) : 59-68
  2. Lee, S.J. and Y.B. Go. 2005.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he Eggs and Larva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Jeju Strait, Korea, with Description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J. Oceanogr., 61(3) : 603-611 https://doi.org/10.1007/s10872-005-0068-5
  3. McNaughton, S.J. 1968. Structure and function on California grass lands. Ecology, 49 : 962-972 https://doi.org/10.2307/1936547
  4.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Thir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600
  5. Okiyama, M.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 Press, 1154 pp
  6. Pielou, E.C. 1966.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 Sons, Inc, New York, 286 pp
  7.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 pp
  8. Yamashita, Y. and T. Aoyama. 1984. Ichthyoplankton in Otsuchi Bay on northeastern Honshu with reference to the time-space segregation of their habitats. Bull. Japan. Soc. Sci. Fish., 50(2): 189-198 https://doi.org/10.2331/suisan.50.189
  9. 강태연.최영찬.고유봉. 1996.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 태학적 기초 연구 (I)-제주도 남서부 연안해역의 해수화학적 특성과 용승현상. 한국수산학회지, 29(5) : 603-613
  10. 고유봉.고경민.김종만. 1991. 제주도 북방 함덕 연안역의 자치어출현. 한국어류학회지, 3(1) : 24-35
  11. 고유봉.고방연.이화자. 1994. 제주도 서부 연안역의 생물생 태학적 기초연구: 고산주변 부유성 갑각류의 현존량과 생 산량. 한국지구과학회지 15(4) : 272-277
  12. 고유봉.노홍길.방익찬.오봉철.윤석훈.윤정수.이준백. 1998. 제주의 바다. 프리랜서 제주, 196 pp
  13. 고유봉.오봉철.최영찬. 1996.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 태학적 기초 연구-부유성 동물 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9(3): 271-278
  14. 고준철. 2004. 제주도 주변해역의 멸치 난치어 수송기구에 관한 연구. 제주대 박사학위논문, 169 pp
  15. 국립수산진흥원. 1998. 연근해 주요어종의 생태와 어장. 국립 수산진흥원, 부산, pp. 21-27
  16. 김경민.이정의.강용진.양상근.김성철.황형규.이영돈. 1999. 실내사육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의 생식 주기와 체내수정. 수진연구보고 56 : 73-81
  17. 김진영. 1992. 한국 남해 멸치, Engraulis japonica의 초기생활사와 가입. 부산수산대, 박사학위논문, 139 pp
  18. 방익찬.김태희. 1993. 제주도 서부 연안역의 용승. 제주대 해양연보 17 : 1-12
  19. 배희찬∙정상철∙이정재∙이영돈. 1998. 제주산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의 생식년주기와 체내자어 발달. 한국수산학회지 31(4) : 489-499
  20. 유재명.김 성.이은경.김용억. 1998. 제주도 주변 해역의 치자어 군집에 관한 연구-가을철.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2) : 71-79
  21. 유재명.김종만.김용억.차성식. 1990a. 여름철 제주도 연안 역의 자치어 분포. 해양연구 12(2) : 73-85
  22. 유재명.김용억.차성식. 1990b. 여름철 제주도 연안역의 치 자어 표층출현량의 일주기 변동. 해양연구, 12(2) : 87-96
  23. 유재명.이은경.김 성. 1999. 여수주변해역의 치자어. 한국수산학회지 32(3) : 295-302
  24. 임주열.옥인숙. 1977. 한국근해에 있어서 멸치란 치자어의 출현분포에 관한 연구. 수진연구보고 16 : 73-80
  25. 조인숙.최영찬.고유봉. 2001. 하계 제주도 동∙서해역 해수 의 특성과 일주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0(3) : 179-185
  2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27. 차성식.박광재. 1994. 광양만 부유성 난 자치어의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6(1) : 60-70
  28. 차성식.천숙진.양재삼.최강원. 2004. 2003년 새만금 해역 어류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출현량. 한국어류학회지 16(4) : 321-330
  29. 차형기.최영민.박종화.김진영.손명호. 2002. 한국 연근해 고등어, Scomber japonicus Houtuyn의 성숙과 산란. 한 국수산자원학회지 5 : 24-33
  30. 최영민.김진영. 1988. 한국 남해안산 멸치, Engraulis japonica (Houttuyn)의 재생산력. 수진연구보고 41 : 27-34
  31. 최영찬.문영석. 1991. 제주도 남방 연안역의 4월달 해수특 성.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연구보고 15 : 73-80
  32. 한경호.김두용.진동수.신상수.백승록.오성현. 2001. 순 천만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종조성 및 양적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3(2) : 136-142
  33. 한경호.신영호.황동식. 2002. 고흥반도 연안에 분포하는 부 유성 난.자치어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 (1) : 45-52
  34. 한경호.홍지선.김영섭.전경암.김영숙.홍병규.황동식. 2003. 영일만에 출현하는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종조성 및 계절변화. 한국어류학회지 15(2) : 87-94
  35. 해양수산부. 2005. 동.서.제주해역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 역-북제주바다목장-(1단계 1차년도). 한국해양연구원, 279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