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Korea is expected to be included in the countries of compulsory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2nd commitment period (2013~2017). For the negotia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tendency of discussions about carbon account in harvested wood products (HWP), which is currently underway around the globe and approach-specif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 effects on carbon emissions in our country. As a result, most importantly, except the current IPC default approach there is no big difference among the 3 approaches of carbon account in HWP, which were newly suggested on the basis importers because all the HWP circulated at home are accounted for by carbon-stock changes. Under production approach, those HWP produced at home only are evaluated according to carbon-stock changes with the exception of imported HWP. Atmospheric-flow approach is favorable to net wood exporters, because the spot where ultimate decomposition and combustion arising out of the use of HWP occur is regarded as the place of carbon emission. Meanwhile, the estimation of korean carbon-stock change in HWP showed that as of 2004, stock-change approach was 1.567 Tg C, with production approach being 0.581 Tg C and atmospheric-flow approach being -1.425 Tg C, which means stock-change approach is most favorable to Korea as a net wood importer, while atmospheric-flow approach is the least favorable one, in terms of carbon emissions reduction in Korea.
우리나라는 제2차 공약기간(2013~2017년)부터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협상에 대비하여 현재 국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목제품 탄소계정 논의 동향 및 방법별 특정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국내 탄소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제품 탄소계정 방법의 가장 큰 특정은 현행 IPCC 기본 접근법을 제외하고 목재 무역 규모에 따라 탄소 배출량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축적변화 접근법은 국내에 존재하는 모든 목제품이 탄소축적 변화량으로 계정되기 때문에 순 목재수입국에 유리한 방법이다. 생산 접근법은 국내에서 생산된 목제품만을 대상으로 탄소축적 변화량을 평가하고 수입 목제품은 계정되지 않는다. 대기유출입 접근법은 목제품의 사용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분해 연소가 발생하는 장소가 탄소 배출지로 평가되기 때문에 순 목재 수출국에 유리한 방법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목제품 탄소축적 변화량을 추정한 결과, 2004년 현재 축적변화 접근법이 1.567 Tg C, 생산 접근법이 0.581 Tg C, 대기유출입 접근법이 -1.425 Tg C로, 순 목재수입국인 우리나라는 축적변화 접근법이 국내 탄소배출량 감소에 가장 유리한 방법인 반면, 대기유출입 접근법이 가장 불리한 방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