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생의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 조절 학습 능력 및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tyle and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on On-line Learning of Engineering University Student

  • 투고 : 2006.04.30
  • 심사 : 2006.06.24
  • 발행 : 2006.03.3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유형을 조사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유형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이들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4년제 대학교 정규과정 1개반을 선정하여 온라인 학습 환경을 설계한 후 한학기 동안 운영하고 학습참여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 로그 파일과 게시판 게시횟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학습 참여도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학습양식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학습양식은 연구자가 기대한 수렴자와는 달리 분산자가 63.4%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학습을 설계할 때 더 나은 학업성취도를 위해 적절한 자기조절 학습 전략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tyle and the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in on-line learning. After a four-year university course was constructed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open on-line courses for a semester, in order to recognize the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an analysis of system log files and notification of the number of bulletins were performed. The result indicates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that learning style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tyl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As to the learning style, researchers expected most students would be convergent, but 63.4 per cent of students (52 students) displayed dispersion. In conclusion, when on-line learning is designed, a proper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will help better learning achiev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진선(2000).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교육에서 학습유형에 따른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 박성희(1998). 웹기반 훈련에서 학습스타일에 다른 학습자-강사 상호작용과 성취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3. 박완희(1989). 학습양식 진단검사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교육학 연구 27(1), 29-581
  4. 봉미미(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규제적 학습: 교육공학 관련 연구에의 시사점. 교육공학연구, 14(1), 97-118
  5. 신민희(1998a). 자기조절학습이론 : 의미, 구성요소, 설계원리. 교육공학연구, 14(1), 143-162
  6. 신민희(1998b). 자기조절학습환경이 학습 성취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4(3), 177-204
  7. 안광식(2005). e-Learning에서 학습양식 측정도구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8.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9. 윤희숙(2003). e-Learning에서 자기조절학습 촉진전략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대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0. 임창재(1991). 수업효과의 효율화 방안: 전문대학생의 학습양식을 중심으로. 서울산업대 공업기술교육 59, 25-32
  11. 황성윤(2001). 전문대학 학생의 계열별 학습양식 비교, 미출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Bodi, S. (1990). Teaching effectiveness and bibliographic instruction; The relevance of learning styles.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51, 113-119 https://doi.org/10.5860/crl_51_02_113
  13. Brown. (1998). Learning styles and Vocational Education practice. ERIC Clearninghouse Ad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14. Carthey, J. H. (1993).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brain hemispheric dominance and academic performance in business and accounting courses (ERIC Document: ED 374 412)
  15. Dunn, R. (1986). Learning Style: State of the science, Theory into Practice, 24(1). 10-19
  16. Horton, W. (2001a). Designing Web-Based Training. John Wiley & Sons, Inc.
  17. Horton, W. (2001b). Instructional design for e-Learning : In getting started with e-Learning. CA:Macromedia
  18. Jonassen, D. H & Grabowski, B. L. (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ew York
  19. Kolb, D. A. (1985). Learning Style Inventory: Self-scoring Inventory and Interpretation Booklet. Boston: NcBer and Company
  20. Matthews, D. B. (1991).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s on grades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32(3), 253-268 https://doi.org/10.1007/BF00992891
  21. Reiff, J. C. & Powell, J. V. (1992). Learning Style: What research says to the teacher.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2.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