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o investigate reproductive cycle of Tridentiger obscurus in Jeju, total 408 fish were collected in brackish area (May 2004 to August 2005) and total 271 fish were collected in tidal pool (July 2004 to August 2005), respectively. Water temperature ranged $11.0{\sim}21.6^{\circ}C$ in brackish area. Water temperature of tidal pool ($11.1{\sim}24.5^{\circ}C$) in 2005 was similar to that of brackish area although it were highest $30.1{\sim}29.2^{\circ}C$ from July to August in 2004. In brackish area, female gonadosomatic index (GSI) increased in April and maintained high values from May to August. The reproductive cycle can be grouped into the following successive stages in the ovary: immature (November to May), maturing (March to September), ripe and spawning (May to September), and degenerating (July to December). In the tidal pool, female GSI rapidly increased in April and maintained high values until July in 2005. However, it has been low in July 2004 when water temperature was highest. The reproductive cycle can be grouped into the following successive stages in the ovary: immature (August to April), maturing (March to August), ripe and spawning (March to July), and degenerating (July to August 2004 and August 2005). Fecundity of mature female ranged from 1,214 to 12,109 in brackish and ranged from 2,427 to 13,892 in tidal pool area. The fecundity of fish in the tidal poo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in brackish area. Fecundity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otal length and body weigh. Although the large group (> 111 mm total length) in brackish area observed only in spawning season, one in the tidal pool observed from October 2004 until next spawning season. Frequency of the large group was 0 to 12% and 11.4 to 57.9% in brackish area and tidal pool,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indicated that gonadal development of T. obscurus was affected to water temperature and day length.
제주연안에 서식하는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의 생식주기를 조사하기위해 기수지역에서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총 408마리, 조수웅덩이에서 2004년 7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총 271마리를 채집하였다. 기수지역의 수온은 $11.0{\sim}21.6^{\circ}C$이었다. 조수웅덩이의 수온은 2004년 7~8월에 $30.1{\sim}29.2^{\circ}C$의 범위였으나, 2005년의 수온변화는 기수지역과 유사하여 $11.1{\sim}24.5^{\circ}C$로 조사되었다. 기수지역 암컷의 GSI는 4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5~8월에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기수지역 검정망둑의 생식주기는 미성숙기 (11~5월), 성숙기 (3~9월), 완숙 및 산란기 (5~9월), 퇴행기 (7~12월)로 조사되었다. 조수웅덩이 암컷의 GSI도 4월에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5년 7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고수온 시기인 2004년 7월에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검정망둑의 생식주기는 미성숙기 (8~4월), 성숙기 (3~8월), 완숙 및 산란기 (3~7월), 퇴행기(2004년 7~8월, 2005년 8월)로 조사되었다. 기수지역과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검정망둑의 포란수는 각각 1,214~12,109와 2,427~13,892의 범위였고 포란수는 조수웅덩이가 기수지역보다 높았다 (P<0.05). 그리고 두 지역 모두 전장과 체중이 증가할수록 포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기수지역에서 전장 111 mm 이상인 개체들은 산란시기에만 관찰된 반면 조수웅덩이에서는 2004년 10월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기수지역과 조수웅덩이에서 이러한 개체들의 출현빈도는 각각 0~12%와 11.4~57.9%이었다. 이들 결과로 보아, 검정망둑의 난소 발달은 수온 및 일장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