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Pinus koraiensis Stand Planted in Mt. Wolak

월악산 24년생 잣나무 인공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 권기철 (국립산림과학원) ;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6.03.03
  • Accepted : 2006.03.23
  • Published : 2006.07.2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iomass and the energy content of 24-year-old Pinus koraiensis stand planted in Mt. Wolak, Chungcheongbuk-do, Korea. Nine sample trees were selected and harvested for the study. Stem, bark, branches and leaves were weighed respectively with the stratified clipping method, and analyzed for productive structure. The allometric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dry weight of each component and $D^2H$ were obtained to estimate the total biomass of aboveground (47.0 ton/ha) and other parts (56.5% from stemwood, 9.1% from stembark, 0.5% from current twigs, 18.4% from live branches, 2.6% from current leaves, and 12.9% from previous leaves). Annual net production of aboveground was 6.0 ton/ha/yr, and the ratios of stemwood, stembark, current twigs, live branches, and current leaves to that of aboveground were 49.8%, 7.3%, 3.5%, 18.6%, and 20.8%, respectively. Energy content of aboveground was 1,028 GJ/ha, and annual energy content was 133 GJ/ha/yr. Leaf area index (LAI) of P. koraiensis plantation was 20.2 in Mt. Wolak.

충북 월악산 북동 사면 지역(해발 380 m)에서 24년생 잣나무 인공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을 조사한 결과, 잣나무림의 바이오매스는 줄기부 26.6 ton/ha, 수피부 4.3 ton/ha, 1년생 가지 0.2 ton/ha, 가지부 8.6 ton/ha, 고사지 1.5 ton/ha, 당년생 잎 1.3 ton/ha, 전년생 잎 6.1 ton/ha로서 고사지를 제외한 지상부 전체는 47.0 ton/ha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줄기부 3.0 ton/ha/yr, 수피부 0.4 ton/ha/yr, 1년생 가지 0.2 ton/ha/yr, 가지부 1.1 ton/ha/yr, 당년생 잎 1.3 ton/ha/yr이며, 지상부 합계는 6.0 ton/ha/yr로 추정되었다. 이것을 열 에너지량으로 환산하면 지상부 전체의 에너지량은 1,028 GJ/ha, 연간 에너지 고정량(지상부)은 133 GJ/ha/yr로 나타났다. 한편, 잣나무림의 엽면적 지수는 20.2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기철, 김홍은, 이종희. 1988. 낙엽송 인공 조림 임분의 생산구조와 생산성. 임산에너지 17(1): 1-7
  2. 권태호. 1982. 경기도 광주지방 잣나무 인공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58
  3. 김갑덕, 김철민. 1988. 국내 삼림 biomass의 생산에 관한 연구와 동향. 임산에너지 8(2): 94-107
  4. 김갑덕, 박재욱, 박인협, 김철민, 정석학. 1985. 리기다소나무와 아까시나무의 성장과 물질생산량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 5(1): 1-9
  5. 김시경. 정좌용. 1985. 굴참나무천연림의 생산구조 및 물질생산력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0: 91-102
  6. 김준호. 1976. 삼림의 생산구조와 생산력에 관한 연구. III. 리기다소나무와 리기테다소나무의 비교. 식물학회지 19(3): 85-91
  7. 오정수. 1990. 밀도와 수령에 따른 현사시 엽면적지수와 물질생산. 임연연보 41: 1-8
  8. 이경재. 1984. 잣나무 인공림에서 밀도조절에 따른 생장 및 물질생산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
  9. 이경재, 박인협. 1987. 경기도 광주지방 22년생 잣나무 및 신갈나무림의 물질생산량과 무기영양물 분포. 임산에너지 7(1): 11-21
  10. 이경학, 정영교, 손영모. 1998. 경기도 포천지방 35년생 잣나무인공림의 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측정학회지 1(1): 61-68
  11. 이돈구, 권기철. 2005. 산림 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발효열교환장치 개발. 농림부 농림기술관리센터. pp. 29-92
  12. 이돈구, 김갑태. 1997. 경기도 광주지방에서 자라는 참나무류, 낙엽송 및 잣나무의 수형특성과 물질분배. 한국임학회지 86(2): 208-213
  13. 임경빈, 김갑덕, 이경재, 김용식, 박인협, 김갑태, 이승호, 박효섭. 1981. 15년생 낙엽송임분의 성장 및 생산구조. 임산에너지 1(1): 4-12
  14. 임경빈, 김갑덕, 이경재, 권태호. 1981. 낙엽송조림지의 생산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연습림연구보고 17: 31-37
  15. 임경빈, 이경재, 권태호, 박인협. 1982. 리기다소나무 인공조림지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임산에너지 2(2): 1-12
  16. 李景文. 1997. 紅松混交林 生態与經瑩(Hongsong Hunjiaolin Shengtai Yu Jingying). 東北林業大學出版社. Harbin. p. 260
  17. Covington, W. W. and J. D. Aber. 1980. Leaf production during secondary succession in northern hardwoods. Ecology 61: 200-204 https://doi.org/10.2307/1937170
  18. Doucet, R., J. B. Berglund, and C. E. Farnsworth. 1976. Dry matter production in 40-year-old Pinus banksiana stands in Quebec. Can. J. Fo Res. 6: 357-367 https://doi.org/10.1139/x76-047
  19. Hatiya, K., K. Tochiaki, and T. Fujimori. 1966. Analysis on the growth of a young larch (Larix leptolepis) plantation with excessively high stand density. J. Jap. For. Soc. 48: 445-448
  20. Johnson, J. D. 1984. A rapid technique for estimating total surface area of pine needles. For.Sc. 30: 913-921
  21. Kira, T., H. Ogawa, and K. Ogino. 1967. Comparative ecological studies on three main type of forest vegetation in Thailand - IV. Dry matter produc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Khao Chong rain forest. Nature and life southeast Asia 5: 149-174
  22. Kittredge, J. 1944. Estimation of amount of foliage of trees and stands. Jour. Forestry 42: 905-912
  23. Mirov, N. T. 1967. The Genus Pinus. The Ronald Press Company, N.Y. p. 602
  24. Oh, J. S., J. W. Kim, Y. H. Jeong, M. Y. Oh, S. K. Park, and S. K. Kim. 1984. Stand structure, volume, and biomass production of 9-year-old Alnus hirsuta var. sibirica grown in Minirotation. 1984. Jour. Korean For. Soc. 65: 54-59
  25. Ovington, J. D. 1957. Dry-matter production by Pinus sylvestris L. Ann. Bot. N.S. 21: 287-314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ob.a083565
  26. Satoo, T. 1968. Primary production relations in woodlands of Pinus densiflora. Symposium Primary Productivity and Mineral Cycling in Natural Ecosystem. N.Y. pp. 52-79
  27. Saucier, J. R. 1979. Estimation of biomass production and removal. Proceedings of Impact of Intensive Harvesting on Forest Nutrient Cycling. pp. 172-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