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 Cover Change Detection over Urban Stream's Drainage Area Using Landsat TM and ETM+ Images

Landsat TM과 ETM+ 영상을 이용한 도시하천 집수구역의 토지이용변화 파악

  • 김재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박철현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조경학) ;
  • 신동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환경연구부) ;
  • 이규석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land use in suburban area has been changed rapidly due to the urban expansion in Korea during the last few decades. And such land use changes result in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biodiversity decrease, habitat fragmentation, air pollution and urban heat island. Remote Sensing (RS)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can be used for land cover change detection to understand the impact and trend of the land use change. Change detection is the process of identifying differences in the state of an object or phenomenon by observing it at different times and it can provide quantitative and comparative information for the land use/cover change. RS is less expansive than field survey for producing land use maps, and can be accessed quickly and repetitively for large area. Also it can be used for change detection using multi-temporal land use/cover by accumulated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ct and quantitatively evaluate urban land cover change in urban stream watershed area for the last few decades and ultimately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urban land use planning and management.

한국은 지난 수십 년간 도시의 확장으로 인해서 교외지역의 토지이용이 급속히 도시화되었다. 이러한 토지이용 변화는 생물 다양성 감소와 생물서식지의 파괴, 대기오염, 도시열섬현상 등의 다양한 환경 문제를 유발하였다. 토지이용 변화의 경향과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토지피복변화의 파악이 필요한데 원격탐사 (RS)와 지리정보체계(GIS)가 활용될 수 있다. 변화 파악은 어떠한 물체나 현상을 시기를 달리하여 관찰함으로써 변화를 발견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토지이용/피복 변화파악에 있어서 정량적이고 상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탐사는 토지이용 현황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현장조사보다 경제적이며, 광범위한 지역을 신속하고 반복적으로 다룰 수 있다 또한 축적된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이용변화를 다양한 시점에서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서울의 양재천 집수구역은 1960년대 이후 가장 급속히 도시화된 지역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히 도시화된 도시하천 유역내 토지이용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도시토지이용계획 및 관리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수, 이광재, 류지원, 김정환, 2003. 도시 확장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토지이용 분류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83-94
  2. 김윤수, 정응호, 류지원, 김대욱, 2005.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시가화지역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 1-9
  3. 신진민, 강병선, 이규석, 2002.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계룡산국립공원의 토지이용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0(3): 94-101
  4. 안승만, 신진민, 신동훈, 이규석, 2002.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대전광역시 토지이용 변화 검출, 환경영향평가, 11(4): 239-246
  5. 윤소원, 이동근, 전성우, 정휘철, 1999.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의 도시화추이에 관한 연구, 환경복원녹화, 2(3): 38-461
  6. 이홍로, 이재봉, 2005. 위성영상을 활용한 환경요인에 따른 고군산 군도 간석지의 시공간적 변화 탐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3): 34-43
  7. 사공호상, 2004.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화지역 확산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40: 53-69
  8. 서창완, 전성우, 1998. 원격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한 접경지역 토지피복연구, 환경영향평가, 7(1): 11-22
  9. 황만익, 1997.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수도권의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2(3): 329-340
  10. Jensen, John R., 1999.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1. Yokohari, M., K. Takeuchi, T. Wantanabe, S. Yokota, 2000. Beyond greenbelts and zoning: A new planning concept for the environment of Asian mega-cit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7: 159-171 https://doi.org/10.1016/S0169-2046(99)000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