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and Applied-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Diatomite from the Pohang-Gampo Area

포항-감포 지역산 규조토의 산출상태와 응용광물학적 특성

  • Noh, Jin-Hwan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In the Pohang-Gampo area, several diatomite beds occurred in mostly thinner than 1 m are embedded in the Pohang Formation of marine environment and the pyroclastic Eoil Formation. The diatomite from the Eoil Formation is constituting the high-grade ore altered slightly by diagenesis. In contrast, the diatomite intercalated within the upper horizon of the Yeonil Group is comparatively low-grade and highly altered in places. During diagenesis, an increasing of crystallinity of opal, i.e., the original mineral component of diatom, results in ultimately the mineral transition to quartz with accompanying a drastic change in morphology and texture of the altered diatomite. The diagenetic alteration appears to have undergone by way of the chemical diagenesis, which is largely controlled by degree of fluid contact, rather than burial diagenesis. For the diatomite from the Pohang-Gampo area, careful SEM observations, XRD, chemical analyses, and determination of specific surface area were done to identify the fossil species,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in the view of assesment of grade and quality. The domestic diatomite ores are evaluated to be not good in grade and quality, compared to those of famous foreign localities. However, some diatomite deposits of marin,: origin from the Pohang Formation is constituting a peculiar clay-rich type, i.e., moler applicable to the special usage such as a manufacturing of lightweight brick. Because such a diatomite is frequently intercalated relatively as a thicker bed in the upper part of the Yeonil Group, a systematic and careful investigation should be done for the exploitation and development of an economic diatomite deposit of the moler type.

감포 지역의 육성 화산쇄설성 퇴적층인 어일층과 해성층인 포항 지역의 포항층에서 규조토가 대개 1 m 미만의 박층을 이루며 부존된다. 어일층에 부존되는 규조토는 상대적으로 고품위를 이루고 속성변질의 정도도 미미한 상태로 산출된다. 이에 비해서 연일층군의 상위 층준에 부존하는 규조토는 상대적으로 저품위를 이루고 산출지에 따라 심하게 속성변질된 양상을 보인다. 속성변질된 규조토에서 규조편의 광물상인 단백석의 결정도가 증대되어 궁극적으로는 규조 패각의 변형과 규조토의 조직적 변화를 수반하면서 석영으로 전이되는 양상이 인지된다. 이 같은 규조토의 속성작용은 매몰정도에 의존되기보다는 주로 속성수의 접촉 및 관여 정도에 의해 규제되는 화학적 속성작용의 형식으로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포항-감포 지역산 규조토들의 화석상, 광물상, 화학조성 및 기타 물성들을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X-선회절 분석, 화학분석, 비표면적 측정 등의 방식으로 그 품위와 품질 평가와 관련하여 면밀히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외국의 유명한 산지의 광석들에 비해서 그 품위와 품질 면에서 불리한 입장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포항 지역의 일부 해성 규조토 광상들은 저품위 광체를 이루지만 경량 내화물 제조용과 같은 특정 용도로는 개발될 수 있는 소위 '점토질 규조토(moler) 유형'을 이룬다. 또한 이 유형의 규조토 층은 연일층군 상부에 자주 개재되고 비교적 두터운 광층을 형성하기도 하기 때문에, 앞으로 이 층에서 개발 잠재성이 여는 점토질 규조토 광체의 탐광과 개발을 위한 체계적이고도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업 (1988) 감포지역 제3기 응회암질 암석의 불석화작용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81p
  2. 노진환 (1994) 제3기 연일층군의 층서, 암상 및 속성 광물상. 한국석유지질학회지, 2, 91-99
  3. 대한광업진흥공사 (1979) 한국의 광산물. 652 p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5) 자원총람, 568 p
  5. 立岩 巖 (1976) 한반도 지질학의 초기 연구사, 경북대학교출판부, 657p
  6. Breese, R.O.Y. (1994) Diotomite, In: Industrial Minerals and Rocks, 6th Edition, D.D. Carr (ed), Society for Mining, Metallurgy, and Exploration, Inc., 397-411
  7. Calacal, E.L. and Whittemore, O.J. (1987) The sintering of diatomite. American ceramic Society Bulletine, 66, 790-793
  8. Chang, L.L.Y. (2002) Industrial Mineralogy: Materials, Processes, and Uses. Prentice Hall, 472 p
  9. Harben, P.W., 1999, The Industrial Minerals HandyBook. Industrial Minerals Information Ltd., 296 p
  10. Harben, P.W. and Kuzvart, M. (1996) Industrial Minerals: A Global Geology. Industrial Minerals Information LTD., 462 p
  11. Tappan H. (1980) The Paleobiology of Plant Protists. W.H. Freeman Co., San Franci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