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English Labial Consonants by Korean EFL Learners

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 순자음 인지

  • 초미희 (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부)
  • Published : 2006.12.28

Abstract

The perception of English labial consonants was investigated via experiment where 40 Korean EFL learners identified nonwords with the target labial consonants [p, b, f, v] in 4 different prosodic locations: initial onset position, intervocalic position before stress, intervocalic position after stress, and final coda position. The overall resul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perception accuracy of the target consonants was rather low, amounting to only 55%. There was also a positional effect since the accuracy rates for perceiving the four target consonants differed by position. Specifically, the average accuracy rate of the target consonant identification was higher in intervocalic position before stress (70%) and initial onset position (67%) than in intervocalic position after stress (45%) and final coda position (36%). Further, the accuracy rate for [f] is was high in all prosodic locations except intervocalic position after stress. The perception patterns were accounted for by the markedness and perceptual factors in conjunction with stress location.

기존의 유표성 이론에 따르면 마찰음이 파열음보다 유표적이므로 발음하기 어렵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EFL 학습자들이 발음하기 어려운 마찰 [f, v]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영어 순자음 [p, b, f, v]를 판별하는 실험을 기획하였다. 40명의 한국 학생들이 영어 순자음이 들어간 임시어를 인지하는 테스트를 실행한 결과, 순자음의 운율적 위치가 인지 정확도를 결정짓는데 영향을 마침을 발견하였다. 특히 유표성 이론의 예상과 달리, 무성 마찰음 [f]의 정확도가 강세 뒤 모음사이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높게 나왔다. 영어 순자음의 평균 인지 정확도는 강세 앞 모음사이 위치와 어두 초성에서 높은 반면에 어말 종성과 강세 뒤 모음사이 위치에서는 낮았다. 한국 학생들의 영어 순자음 인지에는 유표성 이론뿐 만 아니라 음향학적 두드러짐과 강세를 포함하는 청각적인 요소도 작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