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Aesthetics of the Human Body Portrayed in Front Cover of Women's Magazines Prior to 1945

1945년 이전 여성잡지 표지화에 나타난 인체미 분석

  • 이순재 (건국대학교 의상 텍스타일학부)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ncrete image of the ideal beauty as shown in era preceding 1945 that effects the shaping of our aesthetic values; by analyz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vers of women's magazines of that period, this research aim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beauty of the human body. The scope of my research extends throughout the collection of women's magazines stored in the National Library and the Korea Magazine Information Center. The gathered research materials are: 5 kinds of Shin-Yeo-Sung (신여성), 51 kinds Yeo-Sung(여성) and 30 kinds of Ga-Jung-Ji-Woo(가정지우).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Before the 1920's in response to the violent opening, there was a trend of sticking to the traditional standard. In the 1920's, the prevalent images of women were meek and fragile. Japanese standard of beauty was explicitly indicated. In the 1930s, as Western movies started to be shown to the general public, western features were idealized and furthermore intelligence was required as a further condition. In the 1940s, preparation of the war led to encouragement of images of motherhood and natural beauty, and resistant to this trend led to pseudoclassicism.

본 연구의 목적은 1945년 이전 여성지 표지화에 나타난 실제자료를 발굴 제시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시대가 요구하던 미적 이상형을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 시기는 근대성 이 성립되기 시작하는 기원의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외세의 시선으로 타자화 되고 왜곡된 전통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기도 하다. 미적인 이상형은 의복디자인을 통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이기도 하기에 의류학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분야이며 그림으로 표현된 인체는 사진의 사실성 보다 더 뚜렷하게 인물의 특성을 강조하여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국립도서관 귀중본 서고와 잡지정보도서관의 소장 자료 원본86점을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20년대 이전에는 외세에 의해 폭력적으로 추진되는 개방에 대한 반감으로 오히려 전통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1920년대에는 선전 등 전시회에 의하여 그림이 불특정다수에 의하여 감상되는 근대적 문화현상으로 정착되고 일본의 미감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930년대에는 서양 영화가 일반 대중들에게 오락으로 자리하게 되고 서구화된 인물을 이상형으로 생각하며 지성미가 미인의 조건으로 요구되기 시작하였다. 1940년대에는 37년부터 심화된 전쟁과 물자부족으로 모성과 건강한 자연미를 의도적으로 권장하였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의고미(疑古美)가 대두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M. H. (1999). 유가미학에서 바라본 몸(Human body from the View of Confucius Aestheticism). In Lee, G. R. (Eds.), 몸 또는 욕망의 사다리(The Human Body or the Ladder of Desire) (pp. 93). Seoul: Hangilsa
  2. Cho, S. M. (1983). The portraits of Korea. Seoul: Yeolhwadang
  3. Cho, Y. J. (2001).우리 몸과 미술(Our Body & Art). Seoul: Sakyejul
  4. Du Roselle, B. (1980). La Mode. Paris: Imprimerie Nationale
  5. Goo, J. H. (1999). A study on korea's modern art world contained a women figure painting.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6. Kim, G. S. (1992) 한국잡지사연구(Historical Research of Korean Magazines). Seoul; Institute of Koreanology
  7. Kim, Y. A. (2004). Feroticism. Seoul: Kaema
  8. Ko, M. S. (2004).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Modernity of Korea, Looking for it's Origin). Seoul: Chaeksesang
  9. Korean Magazine Association. (1995). 한국잡지 100년(100years of Korean Magazine). Seoul: Korean Magazine Publishers' Association
  10. Ku, E. K. (1994). The study on beauty painting expressed in modern figure painting.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Lee, S. Y. (2002). A study of women's magazin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Ewha Sahak Yeongu, 29, 217-235
  12. Maeng, M. J. (2003). 한국 근대시에서의 여성미 연구(Female Beauty Portrayed in Korean Modern Poetry). Master dissertation, Koryo University, Seoul
  13. Mokhwasaeng. (1933). 근대 여성미의 해부(Analysis of Modern Female Beauty). 신동아 4월호(Shin-Dong- Ah 4th), p. 92-101
  14. Natural Make-Up(자연미 화장법). (1926). 신여성 6월호(ShinYeo-Sung june), p. 44
  15. Research space Sooyu+Neomeo modern media research team. (2005). 신여성(Shin-Yeo-Sung). Seoul: Hankyoreh News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