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riation of Current by the Building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 I )

인공용승구조물 설치에 의한 유동변화 ( I )

  • Kim, Dong-Sun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Hwang, Suk-Bum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Ocean Industri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동선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황석범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In order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ovements around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current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long lines E-W and S-N on May 4th(neap tide} and May 30th(spring tide), 2006. In the study area, southeastward flow was dominant during the field observations, and the pattern of water movement in the upper layer above 30m depth was different from that in the lower layer below 30m depth Vertical flow(w-component} around the artificial structure area and western area was shown to be upward flow, but downward flow occurred in the southern, northern and eastern parts at the neap tide. At the spring tide, the ebb current along E-W line showed upwelling flow in the eastern part and western area and showed upwelling flow near the artificial structure area and downwelling flow far away that one. At the spring tide, upward flow was dominant along S-N line during the flood current Volume transport by upward flow was higher than that by downward flow. Volume transport by upward flow during ebb of neap tide was greater than during flood current of neap tide, but was reverse at the spring tide.

인공용승구조물 설치해역의 구조물에 의한 유동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ADCP(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를 이용한 정선관측을 2006년 5월 4일(소조기) 및 5월 30일(대조기)에 실시하였다. 동서-남북(un-component) 유동성분의 분석결과, 조시에 따른 흐름이 전반적으로 남동류가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구조물 주변역의 표층에서 수심 $30\sim40m$까지의 유동과 이심에서의 유동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연직유동성분(w-component)은 소조기시 구조물 주변해역과 서쪽역에서는 상승류의 흐름이 나타났고 남쪽역, 북쪽역 및 동쪽역에서는 하강류의 흐름이 나타났다. 대조기 W-W line의 낙조시에는 동쪽과 서쪽해역에서 상승류의 흐름이 나타났으며 구조물 중심 동쪽 부근에서 상승류의 흐름이 나타났고 구조물에서 멀어질수록 하강류의 흐름이 나타났다. 대조기시의 분포는 창조시 S-N line에서 상승류의 분포가 전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물 구축 주번해역에서의 단위면적당 상승류의 유량은 대 소조기 창 낙조시에 하강류에 대한 유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소조기에는 창조시보다 낙조시에 더 강하였으며, 대조기에는 창조시가 낙조시보다 큰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