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loring and the Arrangement of Colors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한국 전통 자수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 Yun, Ji-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 Ji-Soo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traditional and characteristic coloring through the color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This research gives the chance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and presents the aesthetic standard of color images. Also, practical use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through this study provide opportunities which develope cultural merchandise in the world. were chosen as the references to analyzed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through gungsu: court embroidery, buddhist embroidery, everyday embroidery and clothing embroidery. Because this book published in commemoration of '20th General Conference and 21th General Assembly of ICOM' in 2004, which presented excellence of Asian culture. The color of these works were divided by 'Pantone Solid Color Chips' which organized by CMYK color system and categorized by Obangsaek. 'Gungsu' had vivid and splendid color sense which used strong and bright colors and 'buddhist embroidery' had mild and mysterious feelings which used low saturation.'Everyday embroidery' used the red color group frequently and 'clothing embroidery' had brighter colors comparing to other embroidery groups. The 'Chung(blue)' group had diverse color tone rather than one-tone color. This means that Koreans prefer the 'Chung' and used it regularly, also this color symbolized the raci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Whang(yellow)' was prohibited because the color for emperor, in the case of embroidery, there were a variety of yellow colors from 'gold' to pale yellow and grayish yellow. The arrangement of colors in 'gungsu', tone on tone, complementary and bicolore coloring was used mostly which presented a strong and elegant color sense. On the other side, 'buddhist embroidery' used tonal coloring which gave gentle and noble feeling. 'Everyday embroidery' presented separation and accented coloring which was the example of common people's humor and originality. In the case of 'clothing embroidery', there was dominant lightness, separation, tone on tone and camaieu coloring which added gorgeousness in Korean traditional clothing.

Keywords

References

  1. 배한나 (2003). 선호색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색채감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박진숙 (2000). 한국 전통색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실증적 배색방법에 관한 연구-감성언어에 따른 배색방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2
  3. 한영화 (1994).전통자수. 대원사, pp. 70-71
  4. 허동화 (2004). 황홀한 우리 자수-실로 잣는 꿈. 경기도 박물관
  5. 이재만 (2005). 한국의 색. 일진사
  6. 배한나 (2003). 선호색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색채감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8
  7. 허용득 (1989).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서울: 명지출판사. p. 45
  8. 국립현대미술관 (1991). 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 p. 13
  9. 박옥련. 조윤정 (2001) 한국 색동의 색채미가 현대 패션에 나타난 현상. 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문화전통 논문, 제9호. pp. 153-169
  10. 박영원 (1997). 한국의 문화적 특성과 미의식을 배경으로 한 한국적 색채에 관한 연구. 청예논총, 12, pp. 59-63
  11. 김남일 (2000). 한국 고유의 색채분석 연구-조선시대 전통 자수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7
  12. 남상임 (1995). 한국자수. 예맥사
  13. 김남일 (2000). 한국 고유의 색채분석 연구-조선시대 전통 자수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4-8
  14. 정선화 (2002). 앞의 논문, p. 11
  15. 김남일 (2000). 한국 고유의 색채분석 연구-조선시대 전통 자수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4-8, pp. 18-19
  16. 허동화 (2004). 황홀한 우리 자수-실로 잣는 꿈. 경기도 박물관, p. 18
  17. 조필교, 정혜민 (1998). 패션디자인과 색채. pp. 113-134.-배색 용어는 이 책에서 언급된 명칭을 사용함
  18. 허동화 (2004). 황홀한 우리 자수-실로 잣는 꿈. 경기도 박물관, p. 46
  19. 허동화 (2004). 황홀한 우리 자수-실로 잣는 꿈. 경기도 박물관, p. 62
  20. 김남일 (2000). 한국 고유의 색채분석 연구-조선시대 전통 자수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42
  21. 정선화 (2002). 앞의 논문, p.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