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ormative Features of Fashion Design in Digital Era

디지털 시대의 패션 디자인 조형성에 관한 연구

  • Chun, Jae-Hoon (Dept. of Clothing & Tektit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r, Ji-Soo (Dept. of Clothing & Tektit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전재훈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 하지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digit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features of fashion design in digital era, to find out the best way to make desirable clothes in the future affected by digital characteristic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documentary research of previous studies and case study. For the study of formative features of fashion design, 100 kinds of pictures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professional books and internet sites. In the theoretical study, digital characteristics are limitless repetition, compressibility, interactivity, ease of deformation and mobility. And formative features of digital design are plasticity & geometry, assemblage, joints & connections, transparency and deform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Formative features of fashion design in digital era are classified nonlinearity, variability and hybrid. There are organic relations between digit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features of fashion design as well as between digit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features of digital design. Also, there is significant similarity between formative features of digital design and formative features of fashion design in digital era.

Keywords

References

  1. 권기영. (2004). 과학기술과 결합된 패션 디자인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1), 1225-1151
  2. 김성훈. (2004). 영상 디자인에 나타나는 퓨전현상에 관한 연구-넷아트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름, 9, 89-91
  3. 김자민. (2005).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장르간 하이브리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정호, 장성원. (2000). 디지털 기술과 산업의 미래. 삼성경제연구소, 96-97
  5. 김주미. (2001). 비선형 패러다임과 디지털 건축. 건축, 45(9), 10
  6. 김주환. (2001). 디지털 시대의 미술. 월간미술, 5월호, 84-85
  7. 김지희. (2005)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디지털 문화현상.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2), 143-152
  8. 김현수, 김민자. (2005) 디지털 환경매체로서 패션에 나타난 사이버네틱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4), 90
  9. 김혜정. (2004). 21세기 현대 패션에 나타난 타영역과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복식, 54(2), 117-118
  10. 라도삼. (1999). 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1. 박경진, 함영호. (2001).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 디자인 방향성 연구. 삼척대학교 논문집. 34(3), 184
  12. 박신의. (2001). 미디어 아트, 열린미술의 기원. 목원조형. 2, 20
  13. 박정순. (2004). 디자인 확장으로서의 인터랙티브 아트 연구 -도시오 이와이 작품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8, 83-85
  14. 양해림. (2001). 미의 퓨전시대. 서울: 철학과 현실사
  15. 옥창수, 신홍경. (2003). 디지털아트 특성에 의한 공간소통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춘계학술발표 대회논문집, 193
  16. 유수연. (2000). 디지털 시대의 퓨전문화와 퓨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 61
  17. 이규옥. (2001). 디지털 영상정보환경에 의한 감각기능의 확장과 예술표현. 울산대학교 조형논총, 4(1), 90
  18. 이승환. (2001). 사이버문화가 디자인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4(1), 27
  19. 이원곤 (2004).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 장애란, 현명관. (2003). 디지털 의복에 표현된 디자인 패러다임. 복식, 53(4), 31-47
  21. 장용훈. (2003).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아트의 가능성에 대한 접근. 디자인학연구, 16(3), 310-312
  22. 최귀영, 여운장. (2000).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포름, 5, 142-145
  23. 최혜실. (1999). 디지털 시대의 문화 예술. 서울: 문학과지성사
  24. 최혜실. (2000). 모든 견고한 것들은 하이퍼텍스트 속으로 사라진다. 서울: 생각의 나무
  25. Meredieu, F. (2003).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전재곤 옮김 (2005). 경기 : 열화당
  26. Rush, M. (1999). 뉴미디어 아트. 심철웅 옮김 (2005). 서울: 시공아트
  27. Martegani, P. & Montenegro, R. (2000). Digital design. Basel: Birkha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