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nd Directions of the Change of the Apparel Retail Structure in Korea (Part I)

우리나라 의류상품 소매유통구조의 변화요인과 방향 (제1보)

  • Ko, Sun-Young (Dept. of Textile & Apparel Management,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
  • Rhee, Eun-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고선영 (미주리 주립대학교 의류직물관리) ;
  • 이은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apparel retail structure historically with the viewpoint that the retail structure is affected by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was done by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The tailor and seamstress shops, the first clothing shops in Korea, were replaced by ready-made shops, because mass production system which had developed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 increased the advantage of economy of scale compared to handicrafts individual one. After that, the production system of apparel industry had been efficient continuously, while retail system had not. The retailing of famous brand apparel conducted by exclusive franchise store caused supplier oriented markets where the opinion and the desire of consumers were not reflected. While the retailing of the unknown brand apparel handled by small retail stores were inefficient. As the apparel industry matured in 1990s, various types of new stores appeared such as specialty stores, discount stores, TV home shopping, internet shopping, outlet malls, and big fashion stores in Dongdeamoon. These new stores have features of seeking profits in mass merchandising. As these large retail stores grow, the apparel retail structure of Korea is changing from a fragmented market to a vertically integrated one. This change is shown by the decrease of stores per inhabitants. With the change of environment, the apparel retail system which has lagged behind comparatively is expected to develop into more efficient system based on the large capital investment which raise the advantage of economy of scale.

Keywords

References

  1. 강순국, (2001) 의류제품의 대형화 추세가 기존 대리점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공정위 백화점 고가경품경쟁 단속 나서. (1998, 11. 6).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10. 16, 자료출처 http://www.mk.co.kr
  3. 김양식. (1971). 한국 신사기성복 업계의 마아케팅에 관한 실증적 연구-특히 소비자 행동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대리점 갈수록 위축. (1997, 11. 13).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9. 29, 자료출처 http://www.mk.co.kr
  5. 대리점 구멍가게 체제 붕괴 (1997, 10. 13).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9.29, 자료출처 http://www.mk.co.kr
  6. 대형 여성 의류업체들 전문 유통업 진출 활발. (1993, 9. 8).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9. 17, 자료출처 http:// www.mk.co.kr
  7. 대형백화점 시장 독식 심화. (2000, 6. 12).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10. 16, 자료출처 http://www.mk.co.kr
  8. 마담사이즈 꾸준히 잘 팔린다. (1988, 7) 섬유저널, p.120-123
  9. 미의 산실을 찾아서. (1979, 9). 월간의상, p. 136-139
  10. 미의 산실을 찾아서. (1979, 10). 월간의상 p. 136-139
  11. 백화점 가격파괴매장 확대. (1995, 6. 2).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10.15, 자료출처http://www.mk.co.kr
  12. 백화점 겨울 세일 앞두고 다시 사은품 경쟁 과열 조짐. (1999, 1. 6). 매일경제신운 자료검색일 2003, 10. 16, 자료출처 http://www.mk.co.kr
  13. 백화점 고급화 바람인다. 명품유치경쟁. (1998, 12. 30).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10. 16, 자료출처 http:// www.mk.co.kr
  14. 백화점 대신 가두점, 의류유통 바뀐다. (2004, 2. 4). 매일경제신문.자료검색일 2003, 10. 1, 자료출처 http://www mk.co.kr
  15. 백화점 아울렛 매장 큰 인기. (1996, 12. 12).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10. 16, 자료출처 http://www.mk.co.kr
  16. 빌리지 '인터벌'로 상호변경 (1996, 5) 섬유저널 p.278
  17. 생활의상창작에 최선을. (1979, 6). 월간의상 p.129-131
  18. 선진 의류유통 일본의 현황. (1998, 11. 1)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9. 21, 자료출처 http://www.mk.co.kr
  19. 섬유산업연합회. (1985). 섬유산업 재도약의 길. 서울: 섬유산업연합회
  20. 성광웅. (1987). 한국 유명브랜드 의류제조업체의 유통계열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송호근. (1992). 시장과 이데올로기. 서울: 문학과 지성사
  22. 수백평 단일 브랜드 매장 나온다 (2004, 7. 28)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10. 1,자료출처 http://www.mk.co.kr
  23. 신세계백화점. (1987). 신세계 25년의 발자취, 서울: 신세계 백회점
  24. 신업태 복합백화점 확산.(1996, 3. 2). 매일경제신문. 자료 검색일 2003, 10. 15, 자료출처 http://www.mk.co.kr
  25. 오상락. (1978). 한국섬유산업의 시장확대와 패션산업화 방안, 경영논집 12(3), 1-69
  26. 오세정. (2000). 국내 의류산업 생산방식에 따른 QR 시스템 도입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온라인 쇼핑 인기품목 1위는 의류, 신발. (2003)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9 24, 자료출처 http://www.mk co.kr
  28. 윤정연 (2001, 6) 로드샵 새로운 강자 멀티삽이 몰려온다. 유통저널, p.72-75
  29. 이마트 자체 브랜드 고급 의류 내놔. (2003, 9. 16)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9. 23, 자료출처 http:νwww.mk co.kr
  30. 이신원. (1980) 우리나라 여성 기성복 마아케팅에 관한 실증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호정. (1996). 패션유통산업. 서울:한국섬유산업연합회
  32. 인터넷 가상 체험 쇼핑 인기 (2003, 7. 18).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9.24, 자료출처 http://www.mk.co.kr
  33. 인터넷 쇼핑몰도 단골가게 있다. (2003, 11. 11)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9. 24, 자료출처http://www.mk. co.kr
  34. 일본 총무청 통계국. 일본통계연감
  35. 정구현. (1985) 선진국과 개도국의 소매유통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한상공회의소
  36. 조창욱. (1977). 우리나라 여성기성복 업계의 마아케팅 실태에 관한 고찰-특히 소비자 행동분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중저가 의류시장 흔들. (1991, 11. 21).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9. 15, 자료출처 http://www.mk.co.kr
  38. 최선형, 박혜선, 손미영, 전양진. (2005). 21세기 패션마케팅. 서울: 창지사
  39. 통계청. 도소매업체 통계조사 보고서
  40. 패션유통 바뀐다(하) 온라인 유통 급부상 (2002, 4. 25).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9. 25, 자료출처 http://www.mk.co.kr
  41. 푸마 강남에 대형 직매장. (2004, 3. 10).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 10. 1, 자료출처 http://www.mk.co.kr
  42. 한만성. (1973) 우리나라 기성복 판매기구에 관한 연구-기성신사복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할인점 옷 잘 팔리는 이유있다. (2003, 5.18),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2003,9.23, 자료출처 http://www.mk.co.kr
  44. 할인점 의류 매출 짭짤. (2004, 2. 18).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3,9.23, 자료출처 http://www.mk.co.kr
  45. Arndt, J. (1972). Temporal lags in comparative retailing. Journal of Marketing, 36(Oct.), 40-45
  46. Boyed, H. W. & Piercy, I. (1963). Retailing in great britain. Journal of Marketing, 23(Jan.), 29-35
  47. Bucklin, L. P. (1972). Competition and evolution in the distributive trad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48. Bureau of the Census.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
  49. Cundiff, E. W. (1965). Concept in comparative retailing. Journal of Marketing, 34(Jan.), 7-10
  50. Dressman, A. C. R. (1968). Pattern of evolution in retailing. Journal of Retailing, 44(4), 64-81
  51. Goldman, A. (1975). The role of trading-up in the development of the retailing system. Journal of Marketing, 39(Jan.) 54-62 https://doi.org/10.2307/1250803
  52. Hollander, S. C. (1960). The wheel of retailing. Journal of Marketing, 24(Jul.), 37-42
  53. UN. UN Statistics Year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