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al Economy of Global Market: Debate on Cultural Imperialism Thesis and Its Critical Acceptance of Cultural Imperialism

문화시장 개방의 정치경제학: 문화제국주의 논쟁과 비판적 수용

  • Yim, Dong-Uk (Division of Mass Communication and Advertising, Gwangju University)
  • 임동욱 (광주대학교 신문방송광고학부)
  • Published : 2006.08.14

Abstract

Now, Korea-U.S.A Free Trade Agreement talk is underway in Korea. In FTA talks, the issues on audio-visual sector including screen quota, opening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to the U.S.A. are becoming a hot potato. Globalization has been speed up by mass media and telecommunications. Cultures are no longer bounded by specific place but, through the migration of persons and the electronic flows of information, ideas and images, transgress established boundaries. So issues and debates have to be focused on global culture and cultural imperialism. Some would argue global culture is the consequences of capitalist world-system, so dominance by the center should be criticized and vanished. Some would say that global culture would help recipient society's people with cultural diversify and improvement. The issues on culture and communication, particularly at international level call for our attention in light of cultural identity, homogenization and diversity. Although I criticize the cultural imperialism thesis, I suggest critical acceptance of cultural imperialism. That is the observation of complexity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The process of cultural imperialism is not simple and unitary. It rather involves the various forces of internal dynamics along with external forces.

지금 현재, 한국은 한미 FTA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편에서는 한미 FTA가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한미 FTA는 국익에 별로 도움이 안 되니 이를 저지하거나 또는 연기시켜야한다고 한다. 이러한 시장개방은 방송, 영화, 광고, 통신 등 문화시장에도 적용된다. 이 글은 문화시장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시장개방의 정치경제에 대한 논쟁과 함께, 선언적 의미에 그치고 있지만 문화제국주의의 비판적 대안을 제시한다. 지난 수십년 동안 문화제국주의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전개되어 왔다. 문화제국주의는 월러스타인의 세계체제론에 근거하여 문화의 영역에도, 중심과 주변 국가가 존재하고 있으며, 미국의 문화 지배는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결과로 미국 중심의 문화 동질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1990년대 초부터 문화제국주의의 중심 주장에 대한 비판 또한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들 주장들을 살펴보면, 문화에서 보호는 자기 패배라는 주장에서부터, 문화의 세계화를 비판적으로만 바라볼 수 없으며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는 시각, 그리고 문화제국주의의 주장이 일면적이고 일방적이라고 한다. 또한 문화제국주의가 수용자의 수용과정을 무시하고 있으며, 멕시코, 브라질 등 일부 국가에서는 유사 문화 제국주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문화제국주의가 미국 주도의 일방적인 흐름은 아니라고 비판한다. 본인은 문화제국주의의 주장을 비판하면서도, 이를 전면적으로 버리기보다는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수용 국가와 제국주의 국가의 내적, 외적 역동성과 변증적 관계를 살펴보아야 하고, 수용국가의 내적 다양성에도 주목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