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육 현황 분석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for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 정경화 (동국대학교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권은주 (동국대학교 유아교육전공)
  • 투고 : 2006.05.16
  • 심사 : 2006.06.03
  • 발행 : 2006.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공교육의 활성화에 대하여 재조명하려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과 공교육화 방향에 대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공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아교육 공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부모들은 교육기회의 균등화 등을 이유로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은 사립 유아교육기관들의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 등의 이유로 유아교육 공교육이 아직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환경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교사와 부모들은 우리나라 유아들의 유치원 취학 기회에 대하여 불공정하며, 유아교육의 공교육화가 추진될 때의 교육비 재정부담에 대해 국고지원으로 무상화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서 추진해야 하는 교육 내용의 방식에 대해서는 지역중심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실시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교육화가 추진된다면 유치원을 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나이에 대해 부모들은 만 5세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만 4세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반면 교사들은 만 4세가 가장 많았으며, 만 3세 라는 의견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공교육화 추진 시 적당한 유치원 규모에 대해 부모들은 3-4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4-5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즉, 부모들이 교사들보다 공교육화 추진 시 적당한 유치원의 학급 수에 대해 더 적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교사 1인당 적당한 원아 수에 대하여 부모들은 11-15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16-20명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셋째, 유아교육 공교육의 추진방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추진하고자 할 때, 앞으로의 공립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대한 생각에 대해 부모들은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관리 감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교원인건비 및 운영비 보조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의견이 많았다.

This study intended to activate public education, researched and analyzed real cond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to know desirable directions of public education and help parents recognize public education. The final purpose is to offer basic materials to reestablish pre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First, parents' recognition concerning pre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wa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eachers. As for defin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arents understood that it means 'the nation and self-governing bodies manage aid both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teachers recognized that it means that 'the nation and self-governing bodies not only found operate public kindergartens but also aid manage educational funds of private kindergartens. Second,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of kindergartens told that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that opportunity to enter the kindergarten is not equal for all children in our country, and qu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is satisfactory. Also, they thought that curriculums of preschool educational organs have been set well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education quality is different according to preschool education organs' foundation-types. They recognized that facilities and apparatus of preschools are satisfactory, security and neatness of preschools are satisfactory, too. Third, the examination of developmental directions of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roved following facts; as for foundation-types of kindergartens in the future when promoting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arents answered financial support and supervision by the government, teachers answered aid and management of operational fees as well as support for teacher personnel expen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