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esthetic Consciousness Latent in the Korean People's White Clothes Customs

한국인의 백의풍속(白衣風俗)에 내재된 미의식

  • Kim, Eun-Kyoung (The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of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Korean people's white clothes custom historically and to explai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latent in the custom. Korean people preferred white clothes, even up to foreigners called them White-clad folk. Not only as in old historical literatures, but also in Soo-suh, Shin-Dang-suh including Sam-Kuk-Ji in China, white clothes were a real symbol to Korean people, ranging chronically far back to the age of ancient tribal countries, Sam-Kuk Period through Koryo Dynasty and even to modern age near the end of Chosun Dynasty, wearing with pleasure regardless of age, sex or social position. Even King himself in Koryo Dynasty is said to have worn white clothes when he was out of official hours. During the Koryo and Chosun Dynasty, white clothes were sometimes prohibited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conflicts with the theories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but such regulations were not effective. To Korean people, white clothes were ordinary people's everyday dress as well as noble people's plain suits, saints' uniforms with religious meanings, ceremonial costumes, funeral garments, etc. The various uses show that white clothes have been worn by many people. The unique custom that a People have worn white clothes consistently for such a long time may contain very deep symbolic meanings representing the people's sentiments and spirits. The present study understood that the meanings come from religious sacredness, magical wish for brightness, the pursuit of purity originating from the people's national traits, assimilation with nature and the will to attain whole ascetic personality. Aesthetic attitudes based on aesthetic values summed up as sacredness, brightness, purity, assimilation with nature, asceticism, etc. ar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pursued by Koreans through their white clothes. For Koreans, white color is the origin of their color sense coming from primitive religions such as worshipping the sun and the heaven. In this way, Korean people's preference for white clothes began with primitive religions, was mixed with various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influences and finally was settled as their durable spirit, symbol and beauty.

Keywords

References

  1. 崔南善 (1948) 朝鮮常識.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細究 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3 현암사, p. 216
  2. 河龍得 (2001). 韓國의 傳統色과 色彩心理. 명지출판사, pp. 18-22
  3. 三國志 魏書, 東夷傳 夫餘條. 자료검색 일 2005, 8. 17,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74020
  4. 隔書 八十一 新羅傳. 자료검색일 2005, 8. 29,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burigb/100010462100
  5. 舊唐書 卷百九十九 新羅傳. 李明姬 (1974). 韓國白衣考.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재인용
  6. 주강현 (2004)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신문사, p. 98
  7. 李順援, 白英子 (1990). 韓國服飾. 韓國放送通信大學, p. 34
  8. 徐鏡, 조동원 등 역 (2005) 宣和奉使 高麗圖経. 서울 황소자리, pp. 256-257
  9. 徐就, 조동원 등 역 (2005). 宣和奉使 高麗圖経. 서울 황소자리, pp. 252-253
  10. 徐就, 조동원 등 역 (2005) 宣和奉使 高麗圖経. 서울 황소자리, p. 252
  11. 徐脫, 조동원 등 역 (2005) 宣和奉使 高麗圖経. 서울 황소자리, pp. 122-123
  12. 韓國文化象徵辭典編纂委員會 (1992). 한국 문화 상징 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323
  13. 河龍得 (2001). 韓國의 傳統色과 色彩心理. 명지출판사, p. 27
  14. 주강현 (2004).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신문사, p. 96
  15. 童越, 윤호진 역 (1994). 朝鮮賦. 서울: 도서출판 까 치, P. 82
  16. 金元龍외 (1995), 인물화. 중앙일보사, p. 54
  17. 高麗史 卷八十五 刑法 禁令 河龍得(2001) 韓國의 傳統色과 色彩心理. 명지출판사, p. 27 재인용
  18. 河龍得(2001). 韓國의 傳統色과 色彩心理. 명지출판사, p. 28
  19. 李明姬 (1974). 앞의 책, p. 9
  20. 백의관음(白衣觀흡). 자료검색일 2005, 9. 5, 자료출처 http://100.naver.comI100.ph?id=748375
  21. 崔南善 (1925). 백색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2 현 암사, p. 451
  22. 백의 수월 관음도 고려 1310년, 419.5cmx254.2cm, 일본 경산사 소장. http://cafe.daum.netlamitaworld
  23. 崔南善 (1948) 朝鮮常識.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細究 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3 현암사, p. 451
  24. 주강현 (2004).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신문사, p. 141
  25. 韓國文化象徵辭典 (1992) 한국 문화 상징 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325
  26. 琴基淑 (1994). 朝鮮服飾美術. 悅話堂, p. 62
  27. 그림출처 국립국악원 KBS (2003). 한국음악선집 제 28집 한국의 굿 NO.7 진도씻김굿, 음반사진
  28. 琴基淑 (1994). 朝鮮服飾美術. 悅話堂, p. 62
  29. 권오창 (1998).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현암 사, p. 156
  30. 권오창 (1998).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현암 사, p. 152
  31. 승무. 자료검색일 2005, 10. 20 자료출처 http://100. naver.com/100.php?id=100023
  32. 徐就, 조동원 등 역 (2005) 宣和奉使 高麗圖経. 서울 황소자리, p. 239
  33. 권오창 (1998).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현암 사, pp. 94-96
  34. 韓國文化象徵辭典 (1992). 한국 문화 상징 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323
  35. 권영필외 (1994). 韓國美學試論. 고려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p. 58
  36. 全完吉(1983) 韓民族의 白衣好尙由來硏究.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9
  37. 崔南善 (1925). 백색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2 현 암사, p. 448
  38. 全完吉(1983). 韓民族의 白衣好尙由來硏究.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39. 李明姬 (1974). 앞의 책, pp. 68-76
  40. 全完吉 (1983) 韓民族의 白衣好尙由來硏究.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38
  41. 李明姬 (1989). 韓民族의 白衣風俗에 영향을 준 動因 에 관한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0-34
  42. 상여. 자료검색일 2005, 10. 20. 자료출처 http://blog naver.com/leepansoo//l00012902126
  43.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주식회사 교보문고, pp. 45-46
  44. 권오창 (1998)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현암사, pp. 74-75
  45. 권오창 (1998)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 현암사, pp. 74-76
  46. 문화관광부 .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회 (2004) 우리 옷 이천 년. 미술문화, pp. 56-61
  47. 李明姬 (1989) 韓民族의 白衣風俗에 영향을 준 動因 에 관한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6
  48. 全完吉 (1983) 韓民族의 白衣好尙由來硏究.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49. 琴基淑 (1994) 朝鮮服飾美術. 悅話堂, p. 57
  50. 金元龍외 (1995). 인물화. 중앙일보사, p. 57
  51. 全完吉 (1983) 韓民族의 白衣好尙由來硏究.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1
  52. 金元龍외 (1994) 풍속화. 중앙일보사, p. 97
  53. 琴基淑 (1994). 朝鮮服飾美術. 悅話堂, pp. 155-156
  54. 韓國文化象徵辭典 (1992) 한국 문화 상징 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647
  55. 崔南善 (1925). 백색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2 현 암사, p. 456
  56. 주강현 (2004)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신문사, p. 100
  57. 韓國文化象徵辭典 (1992) 한국 문화 상징 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648
  58. 주강현 (2004).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신문사, pp. 101-102
  59. 崔南善 (1925). 백색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2 현 암사, pp. 447-448
  60. 주강현 (2004)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신문사, p. 102
  61. 崔南善 (1925). 백색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2 현 암사, pp 449-462
  62. 崔南善 (1948). 朝鮮常識.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細究 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3 현암사, pp. 44-45
  63.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주식회사 교보문 고, p. 41
  64. 琴基淑 (1994) 朝鮮服飾美術. 悅話堂, p. 58
  65. 崔南善 (1925). 백색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 編 (1973). 六堂崔南善全集 2 현 암사, p. 445
  66. 河龍得 (2001). 韓國의 傳統色과 色彩心理. 명지출판사, p. 24
  67. 琴基淑(1994) 朝鮮服飾美術. 悅話堂, pp. 58-59
  68. 琴基淑(1994) 朝鮮服飾美術. 悅話堂, pp. 59-60
  69. 한국미술의자생성간행위원회 (2004) 한국미술의 자생성 한길아트 p. 569
  70.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주식회사 교보문고, p.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