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Duties and Type of Qualification 1st, 2nd, and 3rd Grades Social Worker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과 1급과 2,3급의 직무 유형화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the social worker's duty in korea and suggest for typology duties of 1st grade social worker, 2nd or 3th grade social worker's qualification. 911 social workers responded to questioner. This objectives was accomplished by the measuring to frequency of duties, and the qualifying cognition of each grade social worker's duties. As a result, social worker spent more time carried out maintenance of facility, direct services, intake, management of file and official document duties than personal management, planning and financial program, evaluation and termination duties. Type of social worker's duties fined out composed of 4 type. Type I(The 1st grade social worker's duties) was belonged to 53 task elements, type IV(The 2nd or 3rd grade social worker's duties) was subjected to 11 task elements. 21 task elements performed to either 1st grade social worker or 2nd, 3rd grade social worker by type or uniqueness of social work practices. To allocation of duties by each grade social worker, fitting out of qualification system, the task elements for each grade of social worker must be prescribed by the rules. This allocation of duties by each grade social worker would be utilized to support qualified social work services, and to strengthening of their professional.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수행 직무 특성을 고찰하고 사회복지사 1급과 2,3급의 직무유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911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의 수행 빈도와 직무수준을 조사하였고, 이 두 가지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1급과 2,3급의 직무를 유형화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수행 직무 특성으로는 시설관리, 직접 서비스 제공, 접수, 문서관리 등 수준이 낮게 인식된 직무의 수행 빈도가 높은 반면, 인력관리, 기획 및 재정관리 등의 행정적 직무와 업무형성과 유지, 평가 및 종결 등 수준이 높게 인식된 직무의 수행 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직무유형에 대안 분석 결과, 85개의 요소업무 중 유형 I의 업무(1급 사회복지사의 수행업무)는 53개였으며, 유형IV의 업무(2,3급 사회복지사의 수행업무)는 11개로 분류되었다. 또한 1급이나 2,3급이 실천현장이나 분야의 특성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유형 II, III의 업무는 31개가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 급수별 직무를 제시함으로써, 직무 할당의 근거로 활용하고 그에 따른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인데, 직무 할당이 급수별로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지기 위채서는 현행 사회복지사 자격 제도가 함께 정비되어져야 한다. 이 연구가 자격제도 정비의 근거로 활용되고, 책임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근거로 활용되길 바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