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h Analysis of Determinants Influencing ADL Among the Adult Population with Cerebral Palsy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활동(ADL) 결정 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how the physical impairment develops to practical disabilities among adults with cerebral palsy through path analysis, based on the concept of disability by WHO that the physical impairmen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re affected by the combination of interrelated concept of personal health and environment. Pain and instrumental support are conceptualiz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ADL among the adults with cerebral palsy, which are us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of surveying of 381 participants, paralyzed region is the only variable directly influencing ADL; other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types of cerebral palsy do not have direct effect on ADL. However, it turns out that age, types of cerebral palsy, and paralyzed region influence on pain problems and also on ADL indirectly, when pain is introduced as a mediating variable.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extent of instrumental support works directly and indirectly toward pain and ADL. It means that individual impair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influence on the limitations of ADL, but on the result of interrelatedness of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Finall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ocial work practice should be intervened with a new approach of the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mediating variables.

본 연구는 장애가 신체적 손상과 ADL 사이에 개인의 건강문제와 환경의 상호작용이 포함되는 것이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장애개념 정의에 따라 뇌성마비를 가진 성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적 손상이 실제적인 장애로 발현되는 경로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통증과 도구적 지지를 각각 일상생활활동(ADL)의 매개변인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총 3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마비부위가 일상생활활동(ADL)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성별, 연령, 뇌성마비유형 등은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적 통증문제가 매개될 경우 연령, 뇌성마비유형, 마비부위 모두가 통증문제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일상생활활동(ADL)에 간접적인 영향까지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도구적 지지의 정도가 통증문제와 일상생활활동(ADL) 모두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개인의 손상이 곧바로 활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이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실천분야에서 이 매개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