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Communication and Cultural Identity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sian Housewives in Rural Areas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ability and cultural identity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sian housewives living in rural are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Kosian housewives' motivation for international marriage is to seek economic advancement, but 30% of the respondents are below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Second, the mean score of Korean cultural identity(KCid) fell into the medium level of the scale, and it was higher than that of original cultural identity(OCid) Third, OCi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age, nationality, occupation in their country, religion, number of children, period of marriage, and motivation for marriage. Fourth, more than half of them fell into the low level communication ability group. The high level communication ability group marked higher scores of KCid than the low level group. Fifth, the high level KCid group marked higher scores in marriage satisfaction than the low group. However,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groups were found in OCid. Fifth, KCid is found to have the most strong impa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core of KCid and of yearly mean income, the scores of marriage satisfaction were higher. And the lower the score of OCid and of education level, the scores of marriage satisfaction were lower.

본 연구는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의사소통능력과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예천군과 봉화군을 임의표집하였으며, 샘플의 크기는 84명이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시안가정주부들은 주로 경제적 이유로 결혼하였으나, 현재 경제적 수준은 매우 열악하며, 둘째, 문화적 정체성은 한국문화 정체성이(평균 3.52/5점(${\pm}0.598$)) 모국문화 정체성(평균 3.27/5점(${\pm}0.611$))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보통수준이고, 결혼만족도(평균3.60/5점(${\pm}0.630$)) 역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국문화 정체성은 연령, 국적, 모국의 직업, 종교, 자녀수, 결혼기간, 결혼이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한국문화 정체성은 이들 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지 않았다. 넷째, 과반수이상이 의사소통능력수준이 낮고,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한국문화 정체성이 더 높았다. 다섯째, 결혼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한국문화 정체성이었으며, 다음은 년평균 소득, 학력, 모국문화 정체성 순이었다. 한국문화 정체성과 년평균 소득은 높을수록, 모국문화 정체성과 학력은 낮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조사결과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