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Vascular Plants of the Gosan Recreational Forest in Jeonbuk -A Case Study of Wild Plants except Planted Plants-

전북 고산자연휴양림 일대의 관속식물상 연구 -식재종을 제외한 야생식물을 중심으로-

  • Kim, Young-H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earch Institute of Bio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earch Institute of Bio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earch Institute of Bio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영하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생물산업연구소) ;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생물산업연구소) ;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생물산업연구소)
  • Published : 2006.10.01

Abstract

The wild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the Gosan recreational forest was listed 327 taxa: 99 families, 252 genera, 289 species,1 subspecies, 34 varieties and 3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2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distichum (Presevation priority order: No. 159),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Carex okamotoi, Salix purpurea var. japonica, Weigela subsessili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2 taxa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in class III, 4 taxa (Lilium distichum, Potentilla dickinsii, Caryopteris incana, Ligularia fischeri) in class II, 15 taxa (Hosta capitata, Alnus hirsuta, Ribes mandshuricum, Cayratia japonica, Vaccinium oldhami,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2 families, 28 genera, 31 species, 1 varieties, 32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9.8%. So, wild plants disturbing ecosystem lik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ave been increasing and it needs continuing control and conservation measures on the plant ecosystem.

본 연구는 고산자연휴양림일대에서 식재종이나 원예종(화훼식물포함)을 제외한 야생식물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른 휴양림 관리나 생태교육자료 및 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 99과 252속 289종 1아종 34변종 3품종으로 총 327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은 총 327종류 중 102종류(31.2%), 초본식물은 225종류(68.8%)로 분석되었다. 또한, 양치식물은 8과 11속 12종류(3.7%)와 나자식물은 3과 3속 3종류(0.9%)가, 피자식물은 88과 238속 312종류(95.4%)가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단자엽식물은 10과 44속 51종류, 쌍자엽식물은 78과 194속 261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희귀식물에는 말나리(보존우선순위 159번)와 쥐방울덩굴(151번)만이 확인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에는 개비자나무, 지리대사초, 키버들, 병꽃나무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보전가치가 가장 높은 V등급에서부터 낮은 I등급까지 보전 우선순위를 평가한 것으로 본 조사지역에서 V등급과 IV등급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III등급에 갈퀴아재비와 털괴불나무 2종류, II등급에는 말나리, 돌양지꽃, 층꽃나무, 곰취 4종류, I 등급에는 일월비비추, 물오리나무, 까치밥나무, 거지덩굴, 정금나무 등의 15종류로 분석되어 총21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2과 28속 31종 1변종으로 총 32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27종류의 관속식물 중 9.8%로 분석되었다. 귀화도별 귀화식물을 살펴보면, 귀화도 5등급에는 오리새, 왕포아풀, 콩다닥냉이, 가죽나무, 애기땅빈대, 달맞이꽃, 돼지풀 등의 18종류, 귀화도 4등급에는 메귀리만이 관찰되었으며, 귀화도 3등급에는 나도닭의덩굴, 미국자리공, 말냉이, 붉은서나물, 지느러미엉겅퀴 등의 9종류, 귀화도 2등급에는 큰조아재비, 자운영, 도꼬마리, 귀화도 1등급에는 봄망초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입시기별 귀화식물에는 이입1기에 큰조가재비, 메귀리, 나도닭의덩굴, 말냉이, 아까시나무, 달맞이꽃, 도꼬마리, 큰방가지똥 등 24종류, 이입2기에 족제비싸리, 큰개불알풀, 돼지풀 3종류, 이입3기에 미국자리공, 콩다닥냉이, 봄망초, 붉은서나물, 미국가막사리 5종류가 조사되었다. 이중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 제 6조에 의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은 본 조사지역의 입구와 관찰로 주변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식물은 자생식물 피압 뿐만 아니라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주고 있는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pp. 247-351
  2. 김범수, 김세천, 전경수, 이창헌. 2001. 지리산자연휴양림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2): 1-9
  3. 김세천, 이창헌. 1999. 전북지역 자연휴양림 평가; 성수산, 고산 자연 휴양림. 한국산림휴양학회지 3(3-4): 1-11
  4. 김용식. 1994. 우리나라의희귀및 멸종위기식물평가기준선정의필 요성. 응용생태연구지 8(1): 1-10
  5. 김재준, 박찬우, 이봉수. 2001. 한국의자연휴양림. 소호산림문화과학 연구보고서 4: 55
  6.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 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7. 박봉우, S. Hollenhorst. 2002. 산림휴양지 계획 및 관리-미국 국유 림의 경우-.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1): 9-26
  8. 박선주, 박성준. 2004. 소록도의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18(4):392-398
  9. 박수현,신준환,이유미,임종환,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pp. 184
  10. 박수현. 1994. 한국의귀화식물에관한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 보존 85: 39-50
  11. 박율진, 김범수. 2001. 전북자연휴양림운영실태의 관리진단.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3): 67-76
  12. 박종민,전경수,박문수,안기완.2002. 자연휴양림숲해설주제에 관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3): 19-29
  13. 배관호, 윤충원. 2001. 성주봉 자연휴양림의 산림군락분류와 식생자료의 생태교육활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1): 51-59
  14. 배관호. 2005. 금봉자연휴양림의 식생분류와 식생자료의 생태적 활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 11-20
  15.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 5-84
  16.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현황과 21세기우리의책무. 식물분류학회지 29(3): 263-274
  17. 변무섭. 2003.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유역의 식생구조 분석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3): 25-33
  18.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상 식물-. pp. 140
  19. 연평식, 신원섭. 2003. 산림휴양으로부터얻은편익의규명. 한국산림휴양학회지 7(2): 27-36
  20.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2): 122-134
  21. 이영노. 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pp. 1269
  22. 이영노, 오용자. 1974. 한국귀화식물(1). 생활과학논총 12: 25-31
  23.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624
  24. 이창복. 1983. 우리나라특산식물개관-한국의희귀및멸종위기식물 에 관한 워크샵-. 한국식물학회. pp. 34-41
  25. 이창복. 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26.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4): 69-83
  27. 전라북도산림환경연구소. 2005. 대아수목원식물자원보전관리시스템구축 학술용역-식물자원조사보고서-. pp. 117
  28. 전승훈. 1997.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pp. 216
  29. 정규영, 정형진, 남기흠, 박재호. 2005. 일월산(경북)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1): 131-14
  30. 정윤수, 신수철. 1999. 조령산 자연휴양림지역의삼림식생에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지 10(1): 23-36
  31. 최정호, 정진철, 조미림, 오상훈. 2005. 회문산자연휴양림내관찰로변 의임분구조분석및생태적관리방안. 원광대학교생명자원과학연구 27(2): 19-30
  32. 환경부. 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pp. 62-89
  33.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 (제2조관련)-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I급-.환경부
  34.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pp. 160
  35. 長田武正. 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保育社. pp. 425
  36.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Tokyo. 31: 1-52
  37. Takhtajan, A. 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University California Press. pp.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