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감은사지 삼층석탑 구조

  • 남시진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조물연구실)
  • Published : 2005.12.20

Abstract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one of the early staged stone pagodas, has been known as a standard for Silla stone pagodas. A stone pagoda is not only a stone art work and but also a stone structure. Most studies and investigation of the stone pagoda has done mainly based on style and chronological research according to an art historical view. However, there is not an attempt to research the stone pagoda as a stone architecture. Most Korean experts at the stone pagoda has art history in their background. Engineers who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stone pagoda are very limited. More architectural and engineering approach is need to research not only art historial understanding but also safety as a structure. We can find many technical know-how from our ancestors who made stone pagodas. 1. To reduce any deformation such as relaxation and sinking of BuJae which is caused by a heavy load, the BuJae (consist of a foundation stone and lower stereobates) should be enlarged. 2. A speci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on between Myonsuk and Tangjoo was invented. This unique method is not used any longer after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3. The upper BuJae and the lower BuJae are missed each other by making a difference of Okgaesuk and Okgaebatchim in size. It is done for a distribution of perpendicular load and a prevention for relaxation of BuJae. 4.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BuJae is located to the center of the stone pagoda by trim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kgaebatchim into a convex shape. The man who made stone pagodas had excellent knowledge on the engineering and technique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stone pagodas. We can confirm it as follows: the enlarged BuJae, dislocated connection between upper Bujae and lower BuJae, and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tone pagoda.

감은사지 삼층석탑은 신라석탑의 규범을 이루는 시원적인 석탑으로 우리나라 석탑의 대표적인 형식으로 자리 잡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 같은 석탑은 석조미술품이면서 석구조물이다. 지금까지는 탑을 이해함에 있어서 조탑사상과 미술사적으로는 깊은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져서 양식이나 편년 등은 깊이 있게 연구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석조건축물로서의 연구는 아주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많은 석탑전문가들도 대부분이 미술사전공자이고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공학자는 극히 소수임을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앞으로는 석탑을 이해함에 있어서 미술사 못지않게 구조를 포함한 힘의 전달 등 역학 적인 부분도 검토될 수 있도록 공학적인 면으로도 접근하여 탑을 보다 깊이 있게 그리 고 구조체로서 안전하게 이해하고 안전성도 검토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탑을 조성한 우리선조들의 기술적인 부분을 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 지대석과 하층기단면석을 한 돌로 만드는 기단부의 작은 부재를 가급적 크게 만들어서 상부 하중으로 인한 부재의 이완과 침하 등 부재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 한 것이며, 둘째 : 면석과 탱주의 이음에 있어서 탱주에 턱을 두어 면석을 끼워 맞추는 결구방식을 보면 탱주에 끼워지는 면석부분을 살짝 면접기하여 탱주 턱에 쉽게 끼워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면석 결구방식은 감은사석탑 이후 석탑의 면석 결구방식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결구방식이다. 셋째 : 각 면에 옥개석과 옥개받침석의 크기를 각기 다르게 하여 상 하 부재의 이음부를 일치하지 않게 하였다. 이는 수직 하중의 분산과 부재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 동탑 해체 시 확인된 사항으로 옥개받침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지 않고 안쪽을 볼록하게 도드라지게 다듬어서 가능한 부재의 무게중심을 석탑의 중심에 가깝도록 고려하였다. 작은 부재를 가급적 크게 만든 것, 상하부재의 이음부를 어긋나게 한 기법과 무게중심을 되도록 석탑중심으로 오도록 한 수법 등은 당시 조탑인들은 상당한 수준의 공학적인 식견을 가지고 구조를 이해하는 기술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