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opecia Areata and Androgenetic Alopecia in Women

원형 탈모증과 안드로겐성 탈모증 여성의 정신적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Doo-B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Jin, Seong-Nam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Min, Kyung-J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Noh, Byung-In (Department of Dermat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박두병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진성남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민경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노병인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6.15

Abstract

Objectives : We have studied female patients with either alopecia areata or androgenetic alopecia to evaluate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lexithymia, and characteristic personalities.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se two types of alopecia, where the alopecia areata has been cotroversial on the role of stress in its etiology and the androgenetic alopecia seems to be more influe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Methods : All participated patients were females with alopecia for more than 1 you. Among them, 52 were with alopecia areata and 33 were with androgenetic alopecia. They were compared with 54 normal healthy controls by using MMPI, BDI, STAI-S, STAI-T, and TAS-20K.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F, Hs, D, Pd, Pa, Sc, Si in MMPI of alopecia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s, and the androgenetic alopecia group had highest Hy and Pt scores. The average scores of BDI, STAI-S, and STAI-T in alopecia groups were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s. 94.2% of alopecia areata patients and 97.0% of androgenetic alopecia patients had severe depression, who scored higher than 23 in BDI. In TAS-20K, the average total scores of alopecia groups were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average Factor 3 score in androgentic alopecia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he alopecia groups scored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STAI-S and STAI-T. Conclusion : Females with chronic alopecia were more depressed, had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more alexithymic than normal healthy females. In spite of arguments about etiological role of stress to alopecia, psychiatric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depression, and considerations for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were needed in both types of alopecia.

연구목적 : 장기적인 탈모증의 심리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탈모증을 겪는 여성 환자에서의 불안, 우울, 감정 표현불능증, 성격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더불어 유전적 생물학적 원인이 크게 작용하는 안드로겐성 탈모증과 정신적 스트레스의 병인론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있는 원형 탈모증간에 심리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여성 탈모증 환자를 대상으로 최소 1년 이상 치료를 받고 있는 원형탈모증 환자군(52명)과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군(33명), 그리고 정상대조군(54명)에서 다면적 인성검사(MMPI), 벡 우울척도(BDI), 상태불안척도(STAI-S), 특성불안척도(STAI-T),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척도(TAS-20K)를 시행하여 각 군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MMPI 결과는 F척도, Hs척도, D척도, Pd척도, Pa척도, Sc척도, Si척도에서 탈모증 환자군이 정상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Hy척도, Pt척도는 안드로겐성 탈모증 환자군에서 가장 높았다. BDI 점수, 상태불안척도, 특성불안척도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원형 탈모증과 안드로겐성 탈모증에서 점수가 높았으며, 특히 BDI 점수에서는 심한 우울증(23점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가 원형 탈모증 환자에서 94.2%(49명), 안드로겐 탈모증 환자의 97.0% (32명)로 나타났다. TAS-20K의 경우 총점에서는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Factor 3에서 안드로겐성 탈모증이 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STAI-S 및 STAI-T에서도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여성 만성 탈모증 환자에서 우울감이 두드러지고 불안 수준이 높으며 감정표현불능증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탈모의 병인론에 관련된 논란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탈모증에서 거의 모든 환자가 가지는 우울감에 대해서 적극적인 정신과적 개입이 필요하며, 환자의 성격적 측면과 심리적 대처기 전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