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다른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의 차별적인 조혈세포 분화능

Different Potential of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in Two Distinct Mouse Embryonic Stem Cells

  • 김진숙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화학과) ;
  • 강호범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 송지연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
  • 오구택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부) ;
  • 남기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질환동물모텔평가연구실) ;
  • 이영희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화학과)
  • Kim, Jin-Sook (Department of Biochemistry,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ang, Ho-Bum (College of Pharma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ong, Jee-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Oh, Goo-Taeg (Laboratory of Cardiovascular Genomics, Ewah Womans University) ;
  • Nam, Ki-Hoan (Laboratory of Animal Model Evalu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KRIBB)) ;
  • Lee, Young-Hee (Department of Biochemistry,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12.31

초록

배아 줄기세포는 세포 치료 목적을 위한 재료로써 매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잠재력의 실현을 위해서 세포의 운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들을 확인하고 특정 세포의 대량 생산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조혈과정은 폭넓게 연구되어 왔으며,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조혈세포의 분화는 lineage commitment에 관한 연구에 좋은 모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마우스 배아 줄기세포주 TC-1과 B6-1를 이용하여 그 특성과 조혈세포 분화능을 비교하여 보았다. 두 세포주는 작은 차이는 있으나 줄기세포로서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methylcellulose 배양 system을 사용하여 embryonic body 형성능을 확인한 결과 TC-1이 B6-1에 비해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조혈세포 분화의 추적을 위해 blast colony의 형성, progenitor assay, RT-PCR을 통한 조혈세포 분화 관련 marker의 발현 분석을 수행한 결과, TC-1은 정상적으로 조혈세포를 생성해 내지만, B6-1은 제대로 분화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in vitro에서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조혈세포로 분화를 유도할 때, 보다 적합한 세포주의 탐색이 요구됨을 제시하며 이는 향후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사료된다.

Embryonic stem(ES) cells have tremendous potential as a cell source for cell-based therapies. Realization of that potential will depend on our ability to understand and manipul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ell fate decision and to develop methods for getting enough cell numbers for clinical applications. Hematopoiesis has been widely studied, and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from ES cells is a good model to study lineage commit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temness and compared the efficiency of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using two different mouse embryonic stem cell lines TC-1 and B6-1. Although the two cell lines showed known stem cell properties with minor differences, the embryoid body formation efficiency in methylcellulose was much higher in TC-1 than B6-1. When measured potentials of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using functional(colony-forming cell) and phenotypic(specific marker expression) assays, we found that TC-1 can differentiate into hematopoietic cells in methylcellulose culture but B6-1 cannot. These results imply that we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hematopoietic cell differentiation by selection of proper cell lines and this may be also applied in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