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teoid Osteoma Around the Hip Joint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

  • Kim, Tai-Se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ong-He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Bong-G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oon-My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태승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종헌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봉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순명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Purpose: We experienced 8 cases of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hip joint which had some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those arising on long bone. we reports the characteristics of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the hip joint. Materials and Methods: 8 cases of osteoid osteoma were diagnosed during 1985 to 2004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all cases were comfirmed patholgically. 6 cases were male, 2 cases were female patients. The mean age was 17 years old (ranged from 8 to 29). They occurred in intertrochanteric area (4 cases), subtrochanteric area (2 cases), acetabulum (1 case) and femoral neck (1 case). We used radiologic tools including magnetic resonance image, computed tomography, bone scintigraphy. clinicopathologic test includ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Results: The patients expressed various symptoms including thigh pain, knee pain, low back pain and radiating pain respectively. 2 patients had experienced operation on knee joint. 3 patients showed limping gait. Aspirin relieved the pain in 3 patients. The difference in circumference was 1cm between both thighs in 2 cases. Conclusion: Patients with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hip joint which have various symptoms such as severe knee pain and claudication, differ from infectious disease by clinicopathologic test includ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 reactive protein and had better diagnostic result in computed tomography.

목적: 저자들은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의 유골 골종의 진단과정 및 임상양상에 있어 장관골의 간부에 발생한 유골 골종과의 차이점이 있어 이를 분석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병리학적으로 유골 유종이라고 진단된 20예중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6예, 여자 2예로 진단당시 평균연령은 17세(8~29세)이었다. 전자간에 발생한 경우는 4예, 전자하 2예, 대퇴경부 1예, 비구 1예에 발생하였다. 진단을 위해 단층촬영 및 골주사검사, 자기공명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적혈구침강속도 및 C -반응단백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예에서 소파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3예에서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들이 증상을 호소한 부위로 고관절부위 6예, 슬관절부위 3예, 요추부위 3예이었으며, 2예에서는 슬관절 질환에 대한 검사 및 수술을 시행한 바 있었다. 2예에서 파행을 주증상으로 호소하였고, aspirin 등의 소염제에 동통이 완화된 예는 3예이었다. 병리학적으로 진단되기까지 추정진단으로 감염과 감별하지 못한 예는 2예, 반월상연골판파열 1예, 슬내장증 1예, Legg-Calve-Perthes disease 1예, 요추부 추간판 탈출의증 1예였다.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6예중 5예에서 유골 골종으로 진단하였으며, 자기공명검사에서 고관절 활액막염으로 1예, 감염성 질환으로 1예를 진단하였다.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에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은 주증상으로 파행을 호소할 수 있으며, 고관절 부위 통증뿐만 아니라 슬관절 부위 통증을 나타내며, 이중 슬관절 부위 통증이 고관절부위 통증보다 더 심한 예가 있어 진단에 주의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만성 염증질환과 감별해야 되지만,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가 정상으로 나타나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수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영상진단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중 컴퓨터단층촬영이 더 추천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