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RUPTION GUIDANCE OF AN IMPACTE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변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 Kang, K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강근영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ooth impaction is defined as a cessation of the eruption of a tooth at the level of the oral mucosa or alveolar bone by any causes. Any tooth in the dental arch can be impacted, but the teeth frequently involved in a descending order are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third molars, the maxillary canines,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second premolars, and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n these teeth, impaction of maxillary incisor occurs in about 0.1-0.5% and major causes are trauma, supernumerary teeth and periapical inflammation of primary maxillary incisor. Delayed eruption of a maxillary central incisor results in midline shift, the space's being occupied by an adjacent tooth and different levels of alveolar height. Treatment options are observation, surgical intervention,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transplantation and extraction. These cases were about the patients with delayed erup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e surgically exposed impacted tooth and guided it into normal position by the orthodontic traction. At the completion of tractio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positoned fairly within the arch and complications such as root resorption were not observed.

매복치아란 어떤 원인에 의하여 구강점막이나 악골내에서 치아의 맹출이 중지된 상태를 말하며, 악궁내의 어떠한 치아도 매복될 수 있으나 가장 흔하게 이환되는 치아는 상, 하악 제 3대구치, 상악 견치, 상, 하악 제 2소구치, 상악 중절치의 순으로 나타난다. 이 중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률은 0.1-0.5% 정도이며 매복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유전치의 외상, 과잉치, 치근단 병소로 인한 매복이 흔하며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 인접치에 의한 맹출공간 감소, 치조골 높이의 차이 등의 결과를 유발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방법, 매복치의 맹출로가 정상이며 치근이 미완성일 경우 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거나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하는 방법, 치아이식술, 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상악 중절치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들로 상악 중절치의 변위 매복을 외과적 노출과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