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도권 지역 골프장의 연못식생 평가

Pond Vegetation Assessment of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 Kim Chang-Hwan (Department of 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Iksan National College) ;
  • Ahn Deug-So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3.01

초록

수도권내 9개 골프장 연못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코리아 CC(Korea CC)에서 95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은화삼 CC(Eunhwasam CC)에서는 가장 적은 21종류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은 대체적으로 1-2년생의 단자엽식물과 다년생의 쌍자엽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연못식생의 외래식물과 식재식물의 비율은 지산 CC(Jisan CC)가 $52.3\%$의 비율을 보여 많은 식물들이 외래식물과 식재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인크리크 CC(Pine Creek CC)는 $21.1\%$로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9개 골프장 중에서 식물군락이 가장 다양한 곳은 파인크리크 CC(Pine Creek CC)로서 총 2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반자연식생 및 자연식생군락이 16개, 식재 또는 외래식물군락이 9개 군락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연못의 반자연식생 및 자연식생 식물군락 중 수생식물군락은 17개 군락으로 조사되었으며, 교란지식생 및 식재군락에서는 12개의 수생식물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9개 골프장에서 파인크리크 CC(Pine Creek CC)가 자연식물군락이 대상식물군락 보다 많았으며, 프리스틴벨리 CC(Pristine Valley CC)는 반자연식생 및 자연식생이 조사되지 않았다. 연못식생의 자연성 평가에서는 마이다스벨리 CC(Midas Valley CC)와 파인크리크 CC(Pine Creek CC)가 평가지표에 따른 가치등급에서 놀은 자연성을 보였으나, 서서울 CC(Seseoul CC)와 은화삼 CC(Eunhwasam CC)는 가장 낮은 자연성을 보였다. 이들 자연성에 대한 유사성 거리계수의 상대거리에 의한 집단 분류에서는 인위적 식생이 우세한 태영 CC(Taeyoung CC), 은화삼 CC(Eunhwasam CC), 지산 CC(Jisan CC), 서서울 CC(Seseoul CC)가 하나의 군으로 구분되었으며, 반자연적 식생의 특징을 보인 코리아 CC(Korea CC)와 프리스틴벨리 CC(Pristine Valley CC)가 하나의 군으로 조사된 골프장에서 비교적 자연성이 놀은 마이다스벨리 CC(Midas Valley CC)와 파인크리크 CC(Pine Creek CC)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고 있었다. 블루헤런 CC(Blue Heron CC)는 다른 군과는 또 다른 의미로서 구분되었는바, 블루헤런 CC(Blue Heron CC)는 경관적 의미에 대한 가치평가가 놀은 결과로서 하나의 군으로 나누어 졌다.

The vascular plant at Korea CC was researched in 95 taxa and Korea CC had the highest number of vascular plants among the ponds of 9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at Eunhwasam CC was 21 taxa which followed as the second most. Most of the vascular plants surveyed consist of a mon-ocotyledon with 1-2 years of life and a dicotyledon as perennial. The ratio between an introduced species of pond vegetation and planting species from Jisan CC is $52.3\%$, which is the highest. The lowest ratio of those is $21.1\%$, which is from Pine Creek Cc. Pine Creek CC has 25 plant communities in total, with 16 semi-natural and natural communities and 9 planting or introduced communities. Pine Creek CC has the most varied plant communities among 9 golf clubs. There are plant communities of semi-natural and natural vegetation from all ponds, and there are 12 aquatic plant communities at disturbance or planting vegetation. We found out that Pine creek CC has more natural communities than disturbance or planting communities compared to other golf clubs, and there is not any natural vegetation at Pristine Valley CC. According to value grade from assessment indicator, the natural aspect of Seseoul CC and Eunhwasam CC are the lowest among 9 golf clubs. Taeyoung CC, Eunhwasam CC, Jisan CC, Seseoul CC are superior in made vegetation among the group in terms of euclidean similarity coefficient on natural aspect and are classified as one group. Korea CC and Pristine Valley CC have distinguished semi-natural vegetation and Midas Valley CC and Pine Creek CC, which have a relatively high natural aspect, are classified as one group. Blue Heron CC is separated from other groups into its own group because it has a high value of scenery in particular. In conclusion,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ural aspect of a pond and size of vege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잔디연구소, 2001, 올바른 골프장 이해, 568pp
  2. 김광두, 방광자, 강현경, 2003, 수도권지역 골프장의 환경친화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1(5), 20-30
  3. GECD, 1993, GECD core set of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Environment Monographs., No. 83. ENV/EPO/GCEP(93)5/ADD., 30-31
  4. 양병이, 이관규, 2000,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녹지 평가모형개발, 한국조경학회지, 13(1), 25-41
  5. 양병이, 2000,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생태계지표 개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부속환경계획연구소 전문가 초청세미나, 5-6pp
  6. 김귀곤, 1993, 에코폴리스계획 기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157pp
  7. 대한주택공사, 1996,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258pp
  8. 한국토지공사, 1996, 환경친화적 단지계획기법, 292pp
  9. 이도원, 2001, 경관생태학, 서울대학교출판부, 349pp
  10.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p
  11.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624pp
  12. 이영노, 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7pp
  13. 임양재, 이은복, 고재기, 1984, 주왕산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3, 75-86
  14. 임양재, 김정언, 이남주, 김용범, 백광수, 1990, 한라산국립공원 식물군집 의 식물사회 학적 분류, 한국생태학회지, 13(2), 101-130
  15. Kim, J. U. and U. J. Yim, 1988, Phytos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or. J. Bot., 31(1), 1-31
  16.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Inc., 547pp
  17. Braun-Blanquet, J, 1964, Pfanlzensociologie, 3, Auf, Springer, Wien, New York, 856pp
  18. Werger, M.G. A., 1974, On concepts and techniques applied in the Z rich - Montpellier method of vegetation survey, Bothalia, 11, 309-323
  19. Lance, G. N. and W. T. Williams, 1967, A general theory for classificatory sorting strategies. 1. Hierachical systems, Computer Journal,. 9, 373-380 https://doi.org/10.1093/comjnl/9.4.373
  20. Naki, T., 1952,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Natu. Sci. Mus., Tokyo, 31
  21. 임양재, 박기현, 심재국, 1991, 한국에서의 Raunkiaer 생활형의 지리적 분포, 임양재 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399-414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