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경영시스템과 마케팅믹스활동이 브랜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Activities on Brand Performance

  • 조병탁 (한국생산성본부 브랜드경영센터) ;
  • 이진용 (서울산업대학교 경영학과) ;
  • 박성용 (서울산업대학교 경영학과) ;
  • 이재형 (한숫생산성본부 브랜드연영센터)
  • 발행 : 2005.11.30

초록

지금까지의 브랜드 성과에 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마케팅 활동이 인지도, 이미지 등 소비자 관련 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또, 브랜드 성과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소비자 입장에서 접근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기업 입장에서 브랜드에 대한 가치를 증대시키는 활동들이 기업의 브랜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브랜드경영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이론적 체계를 제시핸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기업 측면에서 시장지향성과 관련하여 브랜드 경영시스템, 마케팅믹스 활동과 같은 브랜드에 대한 가치증대 활동들이 기업의 브랜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시장지향성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들에 개념적 기초를 두고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구조모형의 경로들에 대한 몇 개의 가설을 개발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국내 1000개 기업의 마케팅 및 브랜드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결과 브랜드에 대한 가치증대 활동들이 기업의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의 브랜드관련 조직 문화 및 지식 교육 등을 설명하는 브랜드경영시스템과 전통적인 마케팅 전략수단으로 받아들여진 마케팅믹스 활동들이 중요한 영향변수로 작동하면서 동시에 시장지항성과 브랜드 성과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지향성이 브랜드경영시스템 및 마케팅믹스 활동에 미치는 영향 및 마케팅믹스 활동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브랜드 가치증대를 위한 활동 요소들의 전략적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brand performance have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topics of how marketing activities influence brand awareness and image only from a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of how much brand awareness or image is related to brand performances. This study, unlike previous ones,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nalyzes empirical data from a perspective of firms. We extend previous work by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activities on the relation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using a data set of marketing or brand managers in 1000 firms. The results show that firms possessing higher levels of brand management system, marketing mix, market orientation exhibit superior brand performance. Besides,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This study also offe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current finding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