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ve Number for a Small Forested Mountainous Catchment

산지 소유역 유출곡선지수

  • Oh, Kyoung-Doo (Dept. of Civil Engineering, Korea Military Academy) ;
  • Jun, Byong-Ho (Dept. of Civil Engineering, Korea Military Academy) ;
  • Han, Hyung-Geun (Korea Land Corporation) ;
  • Jung, Sung-Won (Water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Cho, Young-Ho (Water Resources Department, Korea Engineering Consultants Corp.) ;
  • Park, Soo-Yun (Hanjin Information Systems & Telecommunication Co., Ltd.)
  • 오경두 (육군사관학교 토목공학과) ;
  • 전병호 (육군사관학교 토목공학과) ;
  • 한형근 (한국토지공사 연구개발처) ;
  • 정성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 조영호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
  • 박수연 (한진정보통신 GIS 기술팀)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In this paper, runoff curve numbers (CN's) for a small forested mountainous catchment are estimated using rainfall-runoff data measured at Sulma experimental catchment every 10 minutes and a new guideline for applying the antecedent rainfall conditions (ARC's) for small mountainous watersheds in Korea is proposed. Sulma experimental catchment is a typical natural mountainous basin with $97\%$ of forested land cover and CN's are estimated to be in the range between 51 and 89 with median value of 72. The test hypothesis stating as 1-day ARC is better than 5-day ARC in determining CN's for a small mountainous watershed is shown to be acceptable. Also, linear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CN's for small mountainous catchments are proposed. As there is no significant investigations available on CN's for small mountainous catchments, the newly proposed relationships between CN's and ARC may be used as a preliminary guideline to assign CN's for the estimation of floods from rainfall data on mountainous regions.

본 논문에서는 정밀한 수문기상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설마천 시험유역의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산지 소유역의 유출곡선지수(CN)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 산지 소유역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선행강우량(ARC)의 적용기준을 제시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은 $97\%$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형적인 미개발 산지 소유역으로서 기왕의 10개 주요 호우사상을 분석하여 산정된 CN값은 $51{\sim}89$ 범위에 있었으며 중앙값(median)은 72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강우량과 CN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기한 가설인 ${\ulcorner}$5일 선행강우량 보다 1일 선행강우량이 산지 소유역에 대한 CN을 결정하는 데에 더욱 타당성이 높을 것${\lrcorner}$ 이라는 가설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1일 또는 5일 선행강우량으로부터 산지 소유역의 CN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분석식을 제안하였다. 국내 산지 소유역의 유출곡선지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산지 소유역에 대한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선행강우량을 반영한 CN 산정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특히 산악지역에서 실측강우에 따른 유출수문곡선 재현시 선행강우조건을 반영하는 예비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춘식 역 (1996) 풍화토의 특성 (원저: 風化 殘積土の工學的 性質, 西田一彦 著). 도서출판 엔지니어즈
  2. 윤용남 (1998). 공업수문학. 청문각
  3. 윤태훈 (1991). '유효우량산정을 위한 곡선번호방법의 적용성.' 한국수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97-108
  4. 임상준, 박승우 (1997). '논의 유출곡선번호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4호, pp. 379-387
  5. 정성원 등 (2000).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특성 조사.연구-합성단위도 개발을 중심으로. 건기연 2000-092 연구보고서 6차년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 조홍제, 김정식 (1997) 'TIN을 이용한 SCS법에 의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0권, 제4호, pp. 357-366
  7. Hawkins, R.H., Hjelmfelt, A.T. and Zevenbergen, A.W. (1985). 'Runoff probability, storm depth, and curve number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Division, ASCE, ViI. 111, No. 4, pp. 330-340 https://doi.org/10.1061/(ASCE)0733-9437(1985)111:4(330)
  8. James, W. and Robinson, M. (1985). User Manual PCSWMM32 Executive Module, Combine Module, Statistics Module, Graphics Module, CHI Report: R142. Computational Hydraulics
  9. Pilgrim, D.H., and Cordery I. (1993). Handbook of Hydrology: Chapter 9 Flood Runoff Edited by D.R. Maidment. McGraw-Hill Inc
  10. US SCS (1985).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1. US SCS (1986).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echnical Release No. 55 (TR-5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Cited by

  1. Comparative Analysis of Estimation Methods for Basin Averaged Effective Rainfall Using NRCS-CN Method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2.0493
  2. Estimation of Runoff Curve Number for Ungaged Watershed using SWAT Model vol.51, pp.6, 2009, https://doi.org/10.5389/KSAE.2009.51.6.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