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박물)관의 새로운 변화와 우리의 과제: PUS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New Changes and Tasks of the Science Museum: Focusing on its relation to PUS

  • 임소연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
  • 홍성욱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 발행 : 2005.12.01

초록

과학박물관은 과학기술 유물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를 통해 과학과 그것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깊이 있는 시각을 제공하며, 사이언스 센터는 직접적인 조작과 실험을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과학원리를 교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학박물관에 나열된 유물이나 사이언스 센터의 작동모형이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위험, 환경 등과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현대 과학을 이해하는데 충분한 안목을 길러주지는 못한다. 이 글은 21세기 우리의 과학(박물)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는데 있어 제 1세대인 과학박물관과 제 2세대인 사이언스 센터의 장점은 살리면서 한계를 극복해 나가려는 시도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본문에서는 우선 서구에서 과학박물관과 사이언스 센터가 어떻게 탄생하였으며 그 사회적 역할과 최근 동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한국 과학관의 역사를 국립과학관을 중심으로 짚어 봄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과학관의 현주소를 밝혀 보고자 한다. 이어서 국내외 과학박물관과 사이언스 센터에서 보여주고 있는 변화의 움직임을 과학과 예술과의 접목, 사회적 공론의 장이 되는 과학박물관 전시, 신개념의 사이언스 센터와 같은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시도들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해 볼 것이다. 끝으로 '광장'으로서의 제 3세대 과학(박물)관이 과학의 '공공이해를 넘어서 '공공참여'까지 이끌어내는 사회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PUS와 과학(박물)관의 관련성에 대해서 논의하며, 이러한 논의들이 현재 한국 사회의 과학(박물)관의 현실에서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이 글의 마지막에서 제시할 것이다.것을 전제로 생명을 창조하는 것을 허락하는 배아복제에 참여하면서 "생명" 수호자의 정체성을 부여받는 것이 각기 내포하는 모순에 대해 여성이 어떻게 순을하고 타협하고 저항할지에 따라 배아복제 연구의 방향과 속도가 달라질 것이다.

While science museums, whose functions consist traditionally in collecting, preserv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science-related objects, present scientific knowledge, figures, or tools in the historical context, science centers give more emphases on science education by exposing interactive exhibits to their visitors. However, neither objects-oriented exhibits nor hands-on technologies can provide museum visitors with the full insight into modem science in terms of its complicated relationships to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risk, and environment. This paper argues that for the 21st century we need to establish a new kind of science museum through the critical examination of its previous kinds -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enters.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history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science museums, including their recent trends in science centers, in the West will be elaborated. Secondly,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museums in Korea will be discussed specifically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cience museums. The next part of this paper will seek for the possibilities of the third generation of science museums through three examples, which show interdisciplinary, contextu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change science museums or science centers. Fourthly, the social function of science museums as 'forum'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of science as well a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s a conclusion, some practical suggestions and conceptual guidelines will be proposed for the future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