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 적 : NTM질환이 과거에는 공중 건강에 치명적인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최근에 NTM이 높은 빈도로 발견되고 있고, 분리균의 임상적인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의 한 삼차 의료기관에서 의뢰한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NTM의 균종 분포와 폐질환을 일으킨 균주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10개월간 진단검사의학과 임상미생물검사실에 항산균 도말 및 배양검사가 의뢰되어 도말 및 배양 양성을 보인 검체를 DNA-probe hybridization을 이용한 DNA chip을 통해 항산균종(Genotyping)을 확인했다. 비결핵항산균 동정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흉부학회(ATS)의 진단 기준에 합당한 환자를 NTM 폐질환군으로 정의하였으며, 이 환자들에게 발견된 균종, 나이, 성별, 기저 질환, 흉부 방사선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항산균 배양(AFB culture)양성 균주 중 99개 검체에서 NTM동정이 의뢰되었고, 이중 23명의 환자에게서 24개 균주(24.2%)의 NTM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검체는 객담에서 19균주, 기관지세척액에서 4균주, 대장액(colon fluid)에서 1균주가 분리되었다. 24개의 검체에서 MAC이 13균주(54.2%)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였고 M. szulgai가 3균주(12.5%), M. kansasii, M. malmoense가 2균주(8.3%), M. abscessus, M. chelonae, M. scrofulaceum도 각각 1균주(4%)씩 분리되었고 1균주는 분류되지 않은 균주였다. 23명의 환자 중 ATS 폐감염 기준에 부합되는 NTM 감염 환자는 총 11명(45.8%)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1세(38-76세)였다. MAC이 6균주(54.5%)로 가장 많고, M. szugai가 2균주(18.2%), M. abscessus, M. kansasii 등이 1균주(9.1%)였다. MAC이 분리된 환자 13명 중 6명(46.1%) 그리고 M. szulgai가 분리된 환자 3명 중 2명(67%), M. chelonea complex가 2명 중 1명(50%)이 임상적 의의가 있는 NTM 폐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환자들의 기저질환은 악성종양이 6명이며 그 중 5명이 폐암 환자였고 폐결핵의 과거력을 가진 사람은 4명 이었다. 흉부 방사선 촬영으로 분류한 결과 파괴성 폐형태(destructed lung pattern)은 3명, 공동성 종괴 형태(cavitary mass pattern)은 3명, 결절형(nodular pattern)이 2명(흉수동반 포함), 망상결절형(reticulonodular pattern), 경화형(consolidation pattern), 기관지확장형(bronchiectasis pattern)이 각각 1명 관찰되었다. 결 론 : 부산소재 한 대학병원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NTM 폐질환이 발생하였고, 균종의 빈도는 MAC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였고 M. szulgai, M. kansasii, M. malmoense M. abscessus, M. chelonae, M. scrofulaceum순이었다.
Background :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infections are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a cause of chronic pulmonary disease. This study describes the prevalence of NTM species from clinical specimen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TM pulmonary disease. Material and Methods : The NTM isolated from March 2003 to December 2003 at the Kosin Medical Center were identified using an oligonucleotide chip contain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 (ITS) sequence.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ith the NTM isolates, who fulfilled the 1997 ATS diagnostic criteria for NTM pulmonary disease,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 Twenty four species (24.2%) of NTM were isolated from 99 cultured AFB specimens. M. avium complex (MAC) (13 isolates), M. szulgai (3), M. kansasii (2), M. malmoense (2), M. abscessus (1), M. chelonae (1), M. scrofulaceum (1), and unclassified (1). Of the 23 patients with isolated NTM, 11 patients were found to be compatible with a NTM pulmonary infection according to the ATS criteria; MAC was found in 6 cases (54.5%), M. szulgai in 2 cases (18.2%), and M. abscessus, M. szulgai, M. kansasii and M. malmoense in 1 case each (9.1%). Ten patients (91%) were male and the median age at diagnosis was 61 years. In the pre-existing diseases, malignant disease was found in 6 cases including 5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history of old pulmonary tuberculosis was identified in 4 cases. The radiological patterns showed lung destruction lung in 3 cases, a cavitary mass in 3 cases, a nodular pattern in 2 cases, and reticulonodular, consolidation and a bronchiectasis pattern were in 1 case each. Conclusion : Various types of NTM pulmonary diseases were found in a tertiary hospital at Busan, Korea. The NTM pulmonary diseases were caused by MAC, M. szugai, M. kansasii, M. malmoense, M. abscessus, M. chelonae, and M. scrofulaceum in the order of 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