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mal Esophageal Length in Korean Children; Correlation of the Esophageal Length with Height Measured by Flexible Endoscopy

국내 소아의 표준 식도 길이; 내시경으로 측정한 식도 길이와 신장의 상관관계

  • Cho, Ka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Gil Medical Center, Gacheon Medical School) ;
  • Ryoo, Eeell (Department of Pediatrics, Gil Medical Center, Gacheon Medical School) ;
  • Hong, Hee Ju (Department of Pediatrics, Gil Medical Center, Gacheon Medical School) ;
  • Son, Dong Woo (Department of Pediatrics, Gil Medical Center, Gacheon Medical School) ;
  • Tchah, Han (Department of Pediatrics, Gil Medical Center, Gacheon Medical School)
  • 조강호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소아과) ;
  • 류일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소아과) ;
  • 홍희주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소아과) ;
  • 손동우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소아과) ;
  • 차한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소아과)
  • Received : 2005.07.21
  • Accepted : 2005.09.08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Purpose: There have been a few data about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previous data are improper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Because of the variability in height and weight of each the individuals especially in children, measurable external parameters are needed. Methods: We measured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using a flexible endoscope and compared these data with age, height and weight in 262 children who underwent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sults: The mean age was $9.0{\pm}3.6year$ (from 2 days to 16 year of age), mean height was $132.89{\pm}23.49cm$ and mean length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was $33.34{\pm}5.42cm$.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and height was the mostly predictable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earson correlation=0.944). We propose a formula [Esophageal length=4.419+($0.218{\times}height$)] as a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0.000, $R^2=0.891$). Conclusion: The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can be reliably predicted by using the height.

목 적: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하는 방법은 많지 않으며 연령을 기준으로 한 이전의 공식은 같은 나이라도 신장과 체중이 다양하여 식도 길이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치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에서 내시경 검사로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신장, 체중을 측정했던 환아 중 식도 열공탈장, 발육 부전, 골격계의 이상, 선천적 기형, 수술을 시행했던 환아를 제외한 262명을 결 과: 1) 전체 262명 소아의 평균 연령은 $9.0{\pm}3.6$세로 생후 2일부터 16세까지였으며, 남아는 130명, 여아는 132명이었다. 2) 대상 소아의 평균 신장은 $132.89{\pm}23.49cm$였고,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는 평균 $33.34{\pm}5.42cm$였다.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연령, 신장, 체중과의 상관관계 중 신장이 가장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earson correlation=0.944). 3) 이를 바탕으로 식도 길이의 예측 공식으로 [식도 길이=4.419+($0.218{\times}$신장)]을 산출하였다(p=0.000, $R^2=0.891$). 결 론: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는 신장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예측치가 가장 정확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