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earing Conditions of Shirts and the Subjective Preferences for Shirt Fabrics

셔츠의 착용실태와 소재에 대한 주관적 선호감각

  • 최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wearing conditions of shirts, and examine the preferred subjective sensation for shirt fabric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69 university students (male students $45.3\%$, female students $54.7\%$) in the Cheongju area, Korea. Frequency, descriptive analysis, $\x^2$ and t-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less of gender, most owned 4 shirts in the autumn, which were each worn once or twice week. Generally, patterned shirts were less favored than those with solid colors, regardless of gender, but the color of the shirts differed slightly according to gender. Most students gathered items from those displayed in the store as their source of information on shirts, and tended to purchase items worth $30,000\~50,000$ won at franchised stores with friends of the same gender. They almost always looked carefully at the size and brand, but the care label and fiber content were rather neglected during the purchase. While purchasing their shirts, the following elements were considered, in this order of importance: size; color; fitness; comfort; price; tactile sensation. Light, dense, soft, warm, wrinkle-free, dry and strong sensation of the shirt fabrics were the strongest preferences for a purchase.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sensation of shirt fabrics.

Keywords

References

  1. 권오경, 권헌선, 장수정(2001). 직물의 역학적 특성으로부터 셔츠의 의복형성성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 11), 223-232
  2. 김민정, 임숙자, 이숙희(2004). 남성 정장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320-331
  3. 김양원(1998). 하절기 속옷의 착용이 인체의 생리적 반응과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 과학회지, 7(1), 139-146
  4. 김희숙, 나미희(2002a). 대학생의 셔츠용 소재에 대한 선호도 조사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1(3), 263-271
  5. 김희숙, 나미희(2002b). 슬랙스용 소재에 대한 대학생의 선호도 조사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81-389
  6. 서정현, 성수광, 이송자, 권헌선(1999). 반복세탁 및 건조방법이 드레스셔츠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 182-187
  7. 안춘순, 이승희, 양윤, 임숙자, Lennon, S. J.. & Parker, S. M. (2001). 한국과 미국의 여성의 정장용 소재에 대한 한. 미 소비자 선호도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2), 217-227
  8. 이명희(1997). 셔츠 및 청바지의 상표선택과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1), 263-275
  9. 이미식, 김은애, 김종준, 유효선(2002). 춘추용 블라우스/셔츠 소재의 태 언어 도출 및 평가, 한국섬유공학회지, 39(1), 125-132
  10. 이송자, 성수광, 권헌선(1999). 반복세탁 및 건조방법이 드레스셔츠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II).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 259-263
  11. 정인희(2001). 여자 대학생의 의복추구 이미지와 소재 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4), 629-638
  12. 정인희(2002). 의류제품 구매시 소재의 영향과 소비자 소재 선호 구조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1), 83-94
  13. 최종명(2003). 여대생의 의류소재 인지도와 의류제품 구매시 소재의 영향. 충북대학교 생활과학 연구논총, 7(2), 1-10
  14. 패션큰사전 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교문사.
  15. 한진이, 조진숙(2000). 신축성소재, 셔츠 블라우스의 여유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3), 289-300
  16.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on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