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Mee Hye (Dep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 Shin, Kyung Rim (Colleg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김미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신경림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04.11.30
  • Accepted : 2005.01.25
  • Published : 2005.05.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the scale of 'Successful Aging' for Korean elderly. It follows fives: (1)developing 105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2)performing the 1st survey to confirm and reduce items, (3)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professional group and the elderly focused group, (4)performing the 2nd survey to explore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5)performing the 3rd survey to ident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scale constructs four factors with 30 items. The four factors are confirmed : (1)self efficacy, (2)satisfaction with adult children's success, (3)couple life like companion, (4)self control. The reliability of this scale is 0.94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s and each factor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us, the content validity is verified. Also the correlation with the successful aging and the life satisfaction is 0.69 and then the concurrent validity is verified. This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will contribute to use as the socio-metrics at the welfare practice for aging.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후의 성취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성공적 노후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1)선행연구를 통한 문항 개발, (2)1차 조사를 통한 문항 내용 확인, (3)전문가 집단과 노인 포커스 그룹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4)2차 조사를 통한 성공적 노후의 구성요인 확인, 그리고 (5)3차 조사를 통한 구성타당도와 동시타당도 확인까지의 5단계 척도개발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는 총 30문항으로서 '자기 효능감을 느끼는 삶' '자녀 성공을 통해 만족하는 삶' '부부간의 동반자적 삶' 그리고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삶'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공적 노후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a값 0.94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여 요인구조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척도는 삶의 만족도와 0.69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동시타당도도 입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척도의 개발은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측정도구로 활용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3년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KRF-2003-042-B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