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치과위생사의 실무능력 관련요인 분석

The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Dental Hygienist

  • 투고 : 2005.10.14
  • 심사 : 2005.11.21
  • 발행 : 2005.12.30

초록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실무능력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규명하기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이고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6월부터 7월까지 총 87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7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무능력은 장에 의해 개발된 실무능력에 관한 행동지표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3개 영역의 실무능력을 4개의 실무능력군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총 실무능력간의 관련성은 SPSS 11.5 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에 따른 실무능력은 과학적 실무능력군과 심미적 실무능력군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실무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2.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인경우가 기혼인경우보다 윤리적 실무능력군을 제외한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학력과 근무지에 따른 실무능력에서는 전문대졸이 대학 재학 이상보다 4개의 실무능력군에서 실무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근무지에 따라서는 윤리적 실무능력군을 제외한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 치과의원이 높게 나타났으나 별다른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4. 월 급여에 따른 실무능력은 월급여가 높을수록 과학적 실무능력군과 심미적 실무능력군에서 실무능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경력에 따른 실무능력은 경력이 높을수록 과학적 실무능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는 별다른 유의성이 없었다. 6. 같이 근무하는 구성원에 따른 실무능력을 살펴보면 치과위생사만 근무하는 경우보다 간호조무사와 같이 근무하는 경우 과학적 실무능력군에서 높은 실무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assess work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work performanc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87 dental hygienists working dental clinics based in Ulsan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005 through July 2005. A total of 7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SPSS 11.5 program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l data were expressed in terms of numbers, percentage and mean sco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in the Scientific competency group and Esthetical competency group. 2. Unmarried dental hygienists demonstrated better work performance than married dental hygienists in Scientific, Esthetical and Personal competency group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By education level, those with junior college degree had better work performance than those who are attending or graduated from college in the four groups. By workplace, those who were working at non-general hospital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in the three groups except the Ethica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monthly pay and work performance in the Scientific, Personal and Esthetical competency groups. 5.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work experience and performance in the Scientific competency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ork experience and performance in the other three groups. 6. By working environment, those who were working with assistant nurses showed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than those working without assistant nurses in the Scientific competency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