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강 황정 습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ure of Hwangjeong Wetland around Geumho River

  • 이팔홍 (진주중앙고등학교) ;
  • 김철수 (거제중앙고등학교) ;
  • 김태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
  • 오경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및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발행 : 2005.12.30

초록

2003년 4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황정리, 관정리, 구암리, 영천시 도남동에 속한 금호강 주변의 황정 습지에서 식생 구조를 조사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군락은 달뿌리풀 군락, 물억새 군락, 버드나무-선버들 군락, 달뿌리풀-물억새 군락, 돼지풀 군락, 환삼덩굴 군락, 물억새-줄 군락, 달뿌리풀-갈대 군락, 갯버들-달뿌리풀 군락, 왕버들-버드나무 군락, 노랑어리연꽃-줄 군락, 줄-달뿌리풀 군락 등 총 12종류였는데, 군락별 분포 면적은 달뿌리풀 군락이 49.46 ha(11.03%)로 가장 넓고, 물억새 군락 15.32 ha(3.42%), 버드나무-선버들 군락 8.13 ha(1.81%), 달뿌리풀-물억새 군락 6.42 ha(1.43%) 등의 순이었으며, 줄-달뿌리풀 군락이 0.19 ha(0.04%)로서 가장 좁았다. 표조작에 사용된 식생 조사표상 상재도에 의해 구분할 수 있는 군락은 달뿌리풀 군락과 돼지풀 군락인데, 달뿌리풀 군락은 노랑어리연꽃 아군락 및 왕버들 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달뿌리풀 군락의 식별종은 달뿌리풀, 물억새, 고마리, 미나리, 겨풀, 개갓냉이 등이고, 돼지풀 군락의 식별종은 돼지풀, 금강아지풀, 닭의장풀, 쇠방동사니, 바랭이, 도꼬마리, 개망초, 망초, 매듭풀, 토끼풀, 자주개자리 등이며, 노랑어리연꽃 아군락의 식별종은 노랑어리연꽃, 줄, 큰고랭이, 물꼬챙이골 등이고, 왕버들 아군락의 식별종은 왕버들, 버드나무, 갯버들 등이었다. 황정 습지는 전형적인 하천 습지로서 비교적 보전 상태가 양호하나 습지 주변의 경작지(과수원)에서 배출되는 농약 등으로 인해 분포하는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벼과와 버드나무속을 포함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분포 면적이 넓은 황정 습지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로 이용되고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제공하며 간접적으로 금호강의 수질 정화에 기여하므로 보존 가치가 있는 습지로 판단된다.

Vegetation structure of the vascular plants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3 to August 2003 in Hwangjeong wetland around Geumho River, Yeongcheon-si, Gyeongsangbuk-do, Korea. Actual vegetation of Hwangjeong wetland largely can be classified by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the physiognomy into 12 communitie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umulus japonicus,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japonica, Zizania latifolia-Miscanthus sacchariflorus, Zizania latifolia-Nymphoides peltata, Miscanthus sacchariflorus-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communis-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japonica-Salix gracilistyla, Salix koreensis-Salix glandulosa, Salix nipponica-Salix koreensis, and Phragmites japonica-Zizania latifolia. Among them,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was the largest as 49.46 ha(11.03%). The dominant vegetation type was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wo subcommunities; Nymphoides peltata subcommunity and Salix glandulosa subcommunity. Differential species of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were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Persicaria thunbergii, Oenanthe javanica, Leersia oryzoides var. japonica, and Rorippa indica; differential species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etaria glauca, Commelina communis, Cyperus orthostachyus, Digitaria sanguinalis, Xanthium strumarium,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Kummerowia striata, Trifolium repens, and Medicago sativa; differential species of Nymphoides peltata subcommunity were Nymphoides peltata, Zizania latifolia, Scirpus tabernaemontani, and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differential species of Salix glandulosa subcommunity were Salix glandulosa, Salix koreensis, and Salix gracilistyla. It was expected that Hwangjeong wetland is worthy of conservation contributed purifying water pollution, giving habitats of many lifes, and providing beautiful scenes of Geumho Riv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