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Research on Prediction of Pottery Site Distribution based on Overlay Analysis Method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유적 분포 예측의 시범연구

  • Lee, Jin-You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
  • Park, Jun-Bum (The Sangmyung University Museum) ;
  • Yang, Dong-Yu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
  • Kim, Ju-You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
  • Hong, Sei-Su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KIGAM),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
  • Jeong, Kye-Ok (Cultural Heritage Excavation Management Divis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박준범 (상명대학교 박물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정계옥 (문화재청 발굴과)
  • Received : 2005.11.15
  • Accepted : 2005.12.22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s useful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and land use management using both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technique and spatial analysis function in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database of pottery and kiln sites in South Korea, to analyze site locations and finally to make prediction model. The locations of 1,200 sites are put into GIS database. Such factor elevation, slope angle, aspect, horizontal/vertical distance from the nearest water are analyzed. Each factor was statistically analyzed on GIS and represented to rank 1-5. Pottery/kiln can be predicted by the spatial analysis function in overlay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liminary application of prediction model shows that the high potential area is between the slope and alluvial plain. Field survey in the Sungbuk-dong in Daejeon city supports the preliminary result. More data can make improve efficient prediction model in unknown areas.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정보관리나 공간분석을 통해서 문화유적의 보존과 국토이용을 위한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요지유적의 위치를 입력하고, 입지특성을 분석하여, 분포지역을 예측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약 1,200개소 요지유적의 위치를 입력하였고, 각 위치별 입지분석(고도, 사변의 경사, 사변방향, 수계) 및 통계분석을 통해 요지의 입지특성을 해석하였다. 요지유적 분포는 1에서 5까지 등급화된 고도분포, 사변경사, 수계비고, 수계거리, 사변방향의 5개 변수에 대한 중첩분석결과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대전광역시 성북동 일대에 분포하는 요지유적을 대상으로 분포를 예측한 결과 조사지역의 산능선 하부와 충적평야에 이르는 중간지역에서 요지유적 분포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야외에서 확인된 요지유적의 분포와도 일치하였다. 본 시범연구 결과 전국적으로 더 많은 요지분포 자료가 확보된다면 요지분포가 확인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분포 예측력이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