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of gingival biotypes with clinical parameters

치은두께와 임상검사지수들과의 상관관계

  • Kim, Sung-Ju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Il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l, Yang-J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Ki-Yo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u, Yo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hyu, In-Chul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Chong-Pyo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Soo-Bo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Mo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성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김태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설양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조기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구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류인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정종평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한수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이용무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평가기준에 따라 관찰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판단된 치은형과 실제 치은두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임상검사 시에 측정할 수 있는 변수들과 치은두께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2 방법 211명의 치과대학생(22-43세, 평균 24.7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상악중절치부위에서 국소마취하에 근관 치료용 파일을 치은에 삽입하여 두께를 측정하고 임상검사를 통해 치주낭깊이,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퇴축, 체형 및 비만도, 피부형, 치경부의 형태, 관측자가 임의로 판단한 치은형을 기록하였다. 임상사진으로 치관의 폭경과 길이의 비율, 치은외형의 만곡정도를 조사하고 평행촬영법을 이용한 방사선사진으로 치아의 장평비율 및 치아의 치관 폭경과 치경부 폭경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전체 대상을 치은의 두께를 기준으로 평균두께보다 얇은 군과 두꺼운 군의 두 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임상검사 사에 측정한 변수들이 각 군 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는지와 임의로 판단한 치은형이 실제 치은두께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통계처리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3. 결과 치주낭 깊이, 치은지수, 체형 및 비만도, 피부형, 치아의 형태, 치경부의 형태, 치아의 장평비율의 경우 실제 측정하여 얻은 치은의 두께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치은의 형태는 치은의 두께와 상관성은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관측자가 임의로 평가한 치은형과 실제 측정치도 유의할만한 일치를 보이지 않고 있다. 4. 결론 치은의 형태는 치은의 두께를 예상하는데 약간의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실제 치은의 두께는 임상적으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겸사지수들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치료결과의 예측에 있어서 치은형을 분류하여 예상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Ochsenbein C. Newer concepts of mucogingival surgery. J Periodontol 1960:31: 175-185
  2. Miyasato M. Crigger M, Egelberg J. Gingival condition in areas of minimal and appreciabl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J Clin Periodontol 1977:4: 200-209 https://doi.org/10.1111/j.1600-051X.1977.tb02273.x
  3. Wennstrom JL. Lack of association between width of attached gingiva and development of gingival recession. A 5-year longitudinal study. J Clin Periodontol 1998; 14: 181-184
  4. Claffey N. Shanley D. Relationship of gingival thickness and bleeding to loss of probing attachment n shallow sites following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J Clin Periodontol 1986; 13:654-657 https://doi.org/10.1111/j.1600-051X.1986.tb00861.x
  5. Muller HP. Heinecke A. The influence of gingival dimensions on bleeding upon probing in young adults with plaque-induced gingivitis. Clin Oral Invest 2002 ;6:69-74 https://doi.org/10.1007/s00784-001-0141-4
  6. Re S, Cardaropoli RS, Abundo R, Corrente G. Reduction of gingival recession following orthodontic intrusion in periodontally compromised patients. Orthod Craniofacial Res 2004;7:35-39 https://doi.org/10.1111/j.1601-6343.2004.00277.x
  7. Muller HP, Eger T. Gingival phenotypes in young male adults. J Clin Periodontol 1997;24:65-71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7.tb01186.x
  8. Olsson M, Lindhe J. Periodontal characteristics in individuals with varying form of the upper central incisors. J Clin Periodontol 1991: 18:78-82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1.tb01124.x
  9. Mazeland GR. Longitudinal aspects of gingival width. J Periodontal Res 1980; 15: 429-433 https://doi.org/10.1111/j.1600-0765.1980.tb00300.x
  10. Ainamo J, Bay I. Problems and proposals for recording gingivitis and plaque. Int Dent J 1975;25:229
  11. Silness P, Löe H.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cy. Acta Odontol Scand 1964; 22: 121 https://doi.org/10.3109/00016356408993968
  12. Loe H., Silness J.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cy. Acta Odontol Scand 1963: 21: 533 https://doi.org/10.3109/00016356309011240
  13. Graber TM. Orthodontics-principles and practice. Philadelphia: W.B. Saunders. 3rd edition. 1972:209-210
  14. Müller H-P, Eger T. Masticatory mucosa and periodontal phenotype: A review. l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2: 22: 172-183
  15. Weisgold AS, Arnoux J-P, Lu J. Single-tooth anterior implant: A world of caution. Part I. J Esthetic Dent 1997:9: 225-233 https://doi.org/10.1111/j.1708-8240.1997.tb00946.x
  16. Olsson M, Lindhe J, Marinello C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own form and clinical features of the gingiva in adolescents. J Clin Periodontol 1993:20:570-577 https://doi.org/10.1111/j.1600-051X.1993.tb00773.x
  17. Muller HP. Heinecke A. Schaller N, Eger T. Masticatory mucosa in subjects with different periodontal phenotypes. J Clin Periodontol 2000:27:621-626 https://doi.org/10.1034/j.1600-051x.2000.027009621.x
  18. Kois J. Predictable single tooth peri-implant esthetics: Five diagnostic keys. Compendium 2001 :22: 199-206
  19. Sanavi F, Weisgold AS, Rose LF. Biologic width and its relation to periodontal biotypes. J Esthetic Dent 1998: 10:157-163 https://doi.org/10.1111/j.1708-8240.1998.tb00351.x
  20. Pontoriero R. Carnevale G. Surgical crown lengthening: A 12-month clinical wound healing study. J Periodontol 2001 : 72: 841-848 https://doi.org/10.1902/jop.2001.72.7.841
  21. Kan J, Rungcharassaeng K, Umezu K, Kois JC. Dimensions of peri-implant mucosa: An evaluation of maxillary anterior single implants in humans. J Periodontol 2003: 74: 557-562 https://doi.org/10.1902/jop.2003.74.4.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