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Various Synchronization Methods on Postpartum Reproduction in Hanwoo

다양한 발정제어 방법이 한우의 분만성적과 분만후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petition usage of various estrus synchronization and seasonal breeding in Hanwoo. Body weight(kg) at birth and weaning in calves produced by seasonal breeding are 24.0kg, 75.6kg in female, 24.9kg, 78.3kg in male, respectively. Changes of birth weight(kg) by parity in Hanwoo increased gradually. Raising rates of calves by raising experience of farmer higher than in more 10 years as $88.4\%$ and in more 6 years as $84.0\%$. Delivering rates by induced estrus methods in $PGF_{2}{\alpha}$, PRID, CIDR and $GnRH-PGF_{2}{\alpha}-GnRH$ were $87.0\%$, $87.3\%$, $91.6\%$ and $96.0\%$, respectively. Conception days of post-partum following to induced estrus methods in Control, $PGF_{2}{\alpha}$ PRID, CIDR and $GnRH-PGF_{2}{\alpha}-GnRH$ were 137.1, 147.6, 141.3, 116.6 and 118.0 day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repetition usage of various estrus synchronization were not effective on postpartum reproduction in Hanwoo.

다양한 발정유기 방법의 반복처리에 따른 분만율은 평균 $90.7\%(236/260)$로 나타났고 생시체중에 있어서 자연 발정구와 발정 유기구에서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송아지 육성율은 농가의 사육경험이 많을수록 우수한 경향이었고 발정 동기화의 반복처리가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1. 발정 유기구와 자연 발정구에서 출생한 송아지의 생시체중은 암송아지에서 각각 23.9kg, 24.0kg이었고, 수송아지에서 26.2kg, 24.9kg로써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산차에 따른 생시체중은 초산에서 23.4kg, 2산에서 25.3kg, 3산에서 26.2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5산 이후에서는 비슷하였다. 3.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_{2}{\alpha}$구에서 92.3일, PRID구에서 78.5일, CIDR구에서 64.5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65.6일로 나타났다. 4. 분만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_{2}{\alpha}$구에서 147.6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_{2}{\alpha}-GnRH$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Busato A, Steiner L, Martin SW, Shoukri MM and Gaillard C. 1997. Calf health in cow-calf herds in Switzerland.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30:9-22 https://doi.org/10.1016/S0167-5877(96)01109-9
  2. Momont HW. 1998. Progress in bovine estrous cycle regulation. Korean. J. Embryo Transfer, 18-24
  3. Stevenson JS, Lucy MC and Call EP. 1987. Failure of timed inseminations and associated luteal function in dairy cattle after two injections of prostaglandin $F_2a$. Theriogenology, 28(6):937-946 https://doi.org/10.1016/0093-691X(87)90044-6
  4. Yavas Y and Walton JS. 2000. Induction of ovulation in postpartum suckled beef cows. Theriogenology, 54:1-23 https://doi.org/10.1016/S0093-691X(00)00322-8
  5. 권오덕, 최경성, 이승옥, 정환, 이주목. 2000. 한우신생송아지의 질병 발생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7(1):93-101
  6. 김창엽, 원유석, 김경수, 윤태일, 김기준, 김종복 1993. 한우 종빈우의 번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17(1):35-41
  7. 나승환, 백동훈, 신원집, 정창화, 정연후, 강수원, 1992. 한우의 주요 경제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한국축산학회지, 34(1):1-9
  8. 박충생. 1979. 육우의 번식효율 증진에 관한 고찰. 한국가축번식연구회보, 3(1):9-15
  9.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류일선, 정진관, 나승환. 1998. 산차가 한우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4):359-366
  10.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최순호, 김영근. 1998.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 실태 조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4):367-373
  11. 이병천, 김대용, 유한상, 김성기, 김영찬, 구자홍, 박봉균, 윤희정, 윤병일, 조종기, 장 구, 강성근, 황우석. 2002. 국내 소 유산에 관한 임상학적 고찰 II. 계절, 산차별 및 임신단계에 따른 영향.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7(2):163-168
  12. 최연호, 이학교, 박병호, 나승환. 1998. 한우의 초기 사육 환경과 이유전 산육 능력. Animal Genetics and Breeding, 2(2):13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