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Sijohaknonchong)
- 제23집
- /
- Pages.161-188
- /
- 2005
- /
- 1226-2838(pISSN)
사설시조의 형태구조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Sasul-Sijo
초록
사설시조의 형태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조의 형태를 종류별로 알아보고,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를 형태적으로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평시조는 3장 6구 12절 이상이라 하였고, 엇시조는 3장 7구 14철 이상이라 하였고, 사설시조는 3장 8구 16절 이상이라 하였다. 이 연구는 1) 시조와 비시조, 2) 엇시조와 사설시조의 구분, 3) 서설시조의 구조 순으로 논의하였다. 1)에서는 2음보에 44조로 된 작품, 시조와 마찬가지로 3장의 형식은 갖추었지만 시조의 틀과 율조에 거리가 먼 작품, 쓰여진 말이나 어구가 우리말이 아니고 한시나 한문 문장으로 되어 있는 작품들은 비시조로 보아서 시조의 범주에서 제외시켰다. 2)에서는 엇시조는 형식을 장별로 보아 1구 2절 이상 늘어난 것만 엇시조로 간주하였고, 사설시조의 경우는 장별로 따졌을 때 어느 한 장에서 2구 4절 이상 늘어나면 사설시조로 간주하였다. 엇시조는 3장 중 어느 한 장에 구 한 개가 늘어난 경우, 사설시조는 3장 중 어느 한 장에 장 한 개가 늘어난 경우라 보면 된다. 3)에서 사설시조의 구조는 시조 1편이 3장 8구 16절 이상 된 것이라 하였다. 시조의 3장중에서 어느 한 장이 2구 4절 이상 늘어났으면 사설시조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구절 첨가 현상은 (1) 초장에서 절(음보)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2) 중장에서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3) 종장에서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4) 초장과 중장에서 동시에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5) 중장과 종장에서 동시에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6) 초 중 종 3장 모두에서 동시에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등 다양하기 이를 데 없었다. 그리고 사설시조의 구절 수는 3장중 어느 한 장에서 최소 8절부터 최다 87절까지 늘어난 경우가 있어서 그 격차가 너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보 20, 검설뽕과 비슷한 성적을 나타내었으나 특이하게 pH 4.7로 단맛과 신맛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7. NK-T2의 사료가치 검정평가 결과 개량뽕과 비교하여 유충기간과 화용비율, 견충비율은 거의 비슷하였으나, 단견중, 견층중. 2만두 수견량은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엽질이 비교적 우량하다고 평가되었다. 8.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개량뽕을 급이한 대조구 간에는 서로 거의 유사한 아미노산 조성을 보여주었으나 MK-T2를 급이한 시험구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Leu에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Ile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MK-T2 시험구에서는 검출되었다. 9.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 에탄올 추출물의 약리효과 검정결과 누에 에탄을 추출물을 투여한 쥐에서 적출한 신장조직에 대한 HE 염색 및 조직면역화학염색 모두에서 조직학적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morphological types of Sijo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Sasul-sijo, and it's also attempted to present standard about how to discriminate Pyong-si, Eos-sijo and Sasul-sijo from one another from a morphological standpoint. It's suggested that Si with tee Jangs, six verses and 12 stanzas or more, with three Jangs, seven verses and 14 stanzas or more, and with three Jangs, eight verses and 16 stanzas or more should respectively be called Pyong-sijo, Eos-sijo and Sasul-sijo. After what Sijo was and what's not were discussed, how to distinguish Eos-sijo from Sasul-sijo was described, and finally, the structure of Sasul-sijo was presented. As for Sijo and non-Sijo, the types of works that consisted of tee Jangs, like Sijo, yet didn't suit its framework and Yuljo and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regarded as non-Sijo. Concerning discrimination between Eos-si and Sasul-sijo, the type of Sijo that included one more or higher number of verse(s) and two more or higher number of stanzas in one of three Jangs was defined as Eos-sijo, and the type of Sijo that involved two more or higher number of verses and four more or higher number of stanzas in one of three Jangs was called Sasul-sijo. In other words, Eos-sijo contained one more verse in one of tee Jangs, and Sasul-sijo included one more Jang in one tee Jangs. The sort of Sijo that contained one more Jang in one of three Jangs could be viewed as Sasul-sijo. Regarding the structure of Sasul-si, there should be three Jangs, eight verses and 16 stanzas in one piece of Sasul-sijo. Any type of Sijo that contained two more or higher number of verses and four more or higher number of stanzas could be called Sasul-sijo. Such an addition of verse and stanza could done in various ways. The examples were (1) adding stanzas the first Jang, 2) adding stanzas to the second Jang, (3) adding stanzas to the final Jang, (4) adding stanzas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Jangs, (5) adding stanzas to th the second and final Jangs, and (6) adding stanzas to all the first, second and third Jangs at the same time. Besides, there was an extremely broad gap between the numbers of verse and stanza in Sasul-sijo, which ranged from a low of eight stanzas to a high of 87 ones in one of three Jang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