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와 수질과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Dynamics and Water Quality in Paldang Reservoir

  • 발행 : 2005.06.30

초록

본 연구는 4년에 걸쳐 조사된 팔당호 식물플랑크톤 조사자료를 토대로 각 분류군별 세포수 및 점유율 그리고 우점 조류속의 장기변동 패턴을 평가하고, 아울러 이들과 수질과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규조류는 조사기간 중 비교적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조류는 매년 6 ${\sim}$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보였고 7월경 가장 높은 세포수를 나타냈다. 녹조류의 경우 높은 세포수를 나타내는 시기는 6 ${\sim}$ 8월로서 남조류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기타 조류는 Cryptomonas속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5 ${\sim}$ 8월에 높은 세포수가 관찰되었다. 조사기간 중 우점속 (매년 조사기간 중 출현 세포수 총계가 평균 7,000 cells $mL^{-1}$ 이상인 것을 대상으로 함)은 Aulacoseira 및 Cyclotella속(규조류), Microcystis와 Anabaena속 (남조류), Scenedesmus속 (녹조류) 그리고 Cryptomonas속 (은편모조류) 이었다. 각 분류군별 세포수와 수질조사 자료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유의성이 있는 것 (p<0.05)으로 나타난 항목 중 상관계수 0.3 이상을 나타낸 분류군은 규조류의 경우 수온과 총인, 남조류는 수온, pH, DO포화도, COD, 총인, 녹조류는 수온, pH, DO포화도, COD, SS, 총인이었다. 속(genera)별 상관계수 0.3 이상을 나타낸 것은 Aulacoseira속의 경우 총질소와 총인, Anabaena속은 수온, DO포화도, COD, 총인, Microcystis속은 수온, pH, DO포화도, 총인, Coelastrum속은 COD와 SS, Scenedesmus속은 수온, COD, 총질소, 총인, Cryptomonas속은 DO포화도와 총질소였다. 팔당호에서의 남조류 bloom에는 유입량에 의한 1차적인 영향을 제외하면, 수온조건이 인 농도 증가에 의한 영향보다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long-term fluctuation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dynamics of Paldang reservoir in Korea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lgal bloom patterns and hydrological, limnological data. Diatoms in Paldang reservoir occurred continuously through the year. Blue- green algae occurred during the summer season (from June to Sept.), and the highest count was observed in July. Occurrence pattern of green algae was similar to that of blue-green algae. The rest of algae contained a lot of Cryptomonas spp. whose concentration was high from May to Aug. Dominant algal genera (>>7,000 cells $mL^{-1}$) in Paldang reservoir were Aulacoseira, Cyclotella, Microcystis, and Cryptomonas spp. Microcystis and Anabaena occurred during the summer season. Many different green algal genera were found in Paldang reservoir but their abundances were very low. There were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r>0.3, p<0.05) between algal taxa and water quality; diatoms and water temperature, TP:blue-green algae and water temperature, pH, DO saturation, COD, TP; green algae and water temperature, pH, DO saturation, COD, SS, TP. Furthermore, algal genera and water qua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0.3, p<0.05) ; Aulacoseira and TN, TP; Anabaena and water temperature, DO saturation, COD, TP : Microcystisand water temperature, pH, DO saturation, TP; Coelastrum and COD, SS; Scenedesmus and water temperature, COD, TN, TP; Cryptomonas and DO saturation, TN. In Paldang reservoir, the water temperature had relatively big effect on blue-green algal bloom that was also dependant upon its hydrologic cond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공동수. 1992. 팔당호의 육수생태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 기상청. 1980-2002. 기상연보
  3. 김용재. 1998. 팔당댐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적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1(3): 225-234
  4. 김동섭, 김범철. 1990. 팔당호의 일차생산. 한국육수학회지 23(3): 167-179
  5. 김종민,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정완종, 임연택. 2002a. 팔당호 수질의 계절별 변화특성 및 장기추세. 한국물환경학회지 18(1): 67-76
  6. 김종민, 허성남, 양희정, 노혜란, 정완종, 황 정, 이인선, 김무영. 2002b. 호소형 및 하천형 호수의 유기물 거동특성 비교 연구(I).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7. 류홍일, 공동수, 천세억, 박혜경, 손영환, 류재근, 김종민. 1995. 호소내 오염하천 유입부의 식물에 의한 정화처리 연구(I).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8. 서윤수, 조규송, 김범철, 허우명. 1988. 팔당상수원보호 종합대 책에 관한 연구(1차년도-플랑크톤부문). 국립환경연구원
  9. 이 경. 1986. 팔당 침수 수역 식물플랑크톤의 수직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9: 117-127
  10. 천세억, 김정현, 정원화, 박상정, 박혜경, 양상용, 김성수, 김동호, 이덕길, 최덕일. 2001. 조류예보제 시행결과보고서. 국립환 경연구원
  11. 한국수력원자력 (주). 팔당댐 수계자료. http://www.khnp.co.kr/ index.jsp
  12. 한명수, 어운열, 유재근, 유광일, 최영길. 1995. 팔당호의 생태학 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8(3): 335-344
  13. 한명수, 이동석, 유재근, 박용철, 유광일. 1999.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3. 식물플랑크톤의 일차 생산력과 광합성 모델 parameters. 한국육수학회지 32(1): 8-15
  14. 한명수, 홍성수, 어윤열. 2002.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4. 경안천 하류의 영양염 및 입자태 유기물 거동과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한국육수학회지 35(1): 1-9
  15. 한강물환경연구소. 1997-2002. 팔당호 수질 (조류포함) 조사자료
  16. 환경부. 1995, 2000.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7. Hap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 waters : principles, problems and restoration, CHAPMAN & HALL, p. 75, pp. 199-200
  18. Hong, S.-S., S.-W. Bang, Y.-A. Kim and M.-S. Han. 2002. Effects of rainfall on the hydrological condition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riverine zone of the Paldang reservoir, Korea. J. of freshwat. Ecol. 17: 507-520 https://doi.org/10.1080/02705060.2002.9663929
  19. Kong, D.S. 1997.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river-reservoir (Paldang), Korea. Korean J. Limnol. 30-supplement: 524-535
  20. Mortimer, C.F. 1981. The oxygen content of air-saturated freshwater over ranges of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of limnological interest. Mitt. Internat. Verein. Limnol. 21: 1-23
  21. Seale, D.B., M.E. Boraas and G.J. Warren. 1987. Effects of sodium and phosphate on growth of cyanobacteria. Water Res. 21: 625-631 https://doi.org/10.1016/0043-1354(87)90072-8
  22. Smith, V.H. 1983. Low nitrogen to phosphorus ratios favor dominance by blue-green algae in lake phytoplankton. Science 221: 669-671 https://doi.org/10.1126/science.221.4611.669
  23. Stockner, J.G. and K.S. Shortreed. 1988. Response of Anabaena and Synechococcus to manipulation of nitrogen : phosphorus ratios in a lake fertilization experiment, Limnol. Oceanogr. 33: 1348-1361 https://doi.org/10.4319/lo.1988.33.6.1348
  24. SPSS Inc. SPSS 10.0 for Windows
  25. Tanaka, N., M. Nakanishi and H. Kadota. 1974. The excretion of photosynthetic products by natural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Lake Biwa. Japan J. Limnol. 35: 91-98 https://doi.org/10.3739/rikusui.35.91
  26. Tilman, D.R., S.S. Kilham and P. Kilham. 1982. Phytoplankton community ecology : The role of limiting nutrients. Annu. Rev. Ecol. Syst. 13: 349-373 https://doi.org/10.1146/annurev.es.13.110182.002025
  27. Tilman, D. and R. Kiesling. 1983. Freshwater algal ecology; Taxonomic trade-offs i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nutrient competitive abilities. in current perspecties in microbial ecology, Klung, J., A.A. Reddy ed., pp. 314-319, A
  28. Wetzel, R.G. 1983. Limnology. Saunders College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