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Results of Ascertaining Predi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by Physics Achievement

물리 학업 성취도에 따른 예상의 확인 결과가 고등학생의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results of ascertaining prediction on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by physics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6 11th graders. They answered a pretest composed of two items, and through a demonstration on either of the two pretest items, they ascertained whether their predictions were correct or not. The cognitive conflicts were measured with CCLT. After brief instructive treatment, a post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egree of conceptual change. The students who ascertained that their predictions were incorrect generated more cognitive conflicts and conceptual changes than those who ascertained they were correct. In addition, cases in which student physics achievement was low were found to produce more meaningful results of ascertaining predictions on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이 연구는 학생들이 제시된 상황에 대해 자신의 예상이 옳은지 또는 틀린지를 확인하였을 때, 예상의 확인 결과가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물리 학업 성취도에 따라 예상의 확인 결과가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186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무중력 상태에 관한 두 문항의 사전개념 검사문항에 대해 답하도록 하였다. 그 중 한 문항에 대해서만 시범실험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이 예상한 답이 옳았는지 틀렸는지를 확인하게 하고, 인지갈등 정도를 측정하였다. 간단한 수업 처치 후, 사후개념을 검사하여 개념변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의 예상이 틀렸다는 것을 확인한 학생들이 자신의 예상이 옳았다는 것을 확인한 학생들에 비해 인지갈등과 개념변화가 유의미하게 더 많이 일어났다. 그리고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경우에는 예상의 확인 결과에 따라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경우에는 예상의 확인 결과가 틀렸을 때가 예상의 확인 결과가 옳았을 때보다 인지갈등 점수와 사후개념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즉, 예상의 확인 결과는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경우보다 학업 성취도가 낮은 경우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난주 (2000). 인지갈등에 의한 중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특성의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난주, 권재술 (2004).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과학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4), 216-225
  3. 권재술 (1989). 과학개념의 한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1), 1-9
  4. 권재술 (1992). 과학 개념 학습을 위한 수업 절차와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9-29
  5. 권재술, 이경호, 김연수 (2003).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74-591
  6. 김범기, 권재술 (1995). 과학 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72-486
  7. 김지나, 이영직, 권재술 (2000). 갈등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 개개인의 물리 개념변화 경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77-87
  8. 이경호 (2000).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변화에 미치는 인지갈등,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영직 (1998). 인지갈등에 의한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차영, 서상오, 권재술 (2001).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학습에서 토론을 통한 인지갈등과 개념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411-421
  11. 최혁준 (2003) 무중력 상태에 대한 예상의 확인 결과가 대학생의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한인수, 권난주, 권재술 (2001). 인지갈등 유발 수업에서 오개념에 대한 확신도가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89-696
  13. Chan, C., Burtis, J., & Bereiter, C. (1997). Knowledge building as a mediator of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Cognition and Instruction, 15(1), 1-40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501_1
  14.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4),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15. Druyan, S. (1997). Effect of the kinesthetic conflict on promoting scientific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10), 1083-10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12)34:10<1083::AID-TEA7>3.0.CO;2-N
  16. Galili, I. (1993). Weight and gravity: teachers' ambiguity and students' confusion about the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2), 149-162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204
  17. Galili, I. (1995). Interpret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 of weightlessnes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1), 51-74 https://doi.org/10.1007/BF02356460
  18. Hashweh, M. Z. (1986). Toward a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3),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19. Lee, G., Kwon J., Park, S. S., Kim, J. W., Kwon, H. G., & Park, H. K. (200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cognitive conflict in secondary-level science clas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85-603 https://doi.org/10.1002/tea.10099
  20. Limon, M. (2001). On the cognitive conflict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a critical appraisal. Learning and Instruction, 11(4-5), 357-380 https://doi.org/10.1016/S0959-4752(00)00037-2
  21. Niaz, M. (1995). Cognitive conflict as a teaching strategy in solving chemistry problems: A dialecticconstructivist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9), 959-970 https://doi.org/10.1002/tea.3660320907
  22.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23. Strike, K. A., & Posner, G. J. (1992). A revisionist theory of conceptual change. In R. A. Duschl & R. J. Hamilton (Eds.),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pp. 147-176).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